UPDATED. 2025.08.14(목)

미래에셋, 중국 관광객 무비자 카드로 내수주 승부수

여행레저·화장품 ETF 수혜 전망... "이제는 소비주에 주목할 때"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13 10:46:26

미래에셋, 중국 관광객 무비자 카드로 내수주 승부수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얼어붙었던 중국 관광객 발길이 다시 한국을 향하면서 국내 소비 업종에 훈풍이 불고 있다. 정부의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 결정을 계기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관련 수혜 업종을 겨냥한 투자 전략에 나섰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13일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TIGER 여행레저 ETF'와 'TIGER 화장품 ETF' 2종을 선정하고 관련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6일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TF 회의에서 오는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중국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한한령 등으로 급감했던 중국 관광 수요가 최근 회복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나온 정책적 지원이다.

특히 이번 조치는 단순한 관광 활성화를 넘어 국내 소비 업종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이전 중국인 관광객들은 한국 여행에서 1인당 평균 2,000달러 이상을 소비하며 내수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기 때문이다.
여행레저, 직접적 수혜 업종으로 부상

첫 번째 수혜 업종으로 꼽히는 것은 여행레저다. 'TIGER 여행레저 ETF'는 파라다이스, 대한항공, 호텔신라 등을 주요 편입 종목으로 하는 국내 유일의 여행레저 ETF다.

중국인 관광객들은 전통적으로 면세점 쇼핑뿐만 아니라 호텔, 테마파크, 카지노 등 고부가가치 레저 소비에도 적극적인 성향을 보여왔다. 특히 강원랜드와 파라다이스 같은 카지노 업체들과 롯데호텔, 호텔신라 같은 특급 호텔들은 중국 관광객 증가의 직접적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항공업계도 기대감이 크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은 중국 노선 운항 재개와 증편을 통해 실적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핵심 수혜 업종은 화장품이다. 'TIGER 화장품 ETF'는 한국 화장품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ETF로, 달바글로벌, 제닉 등 신생 인디 브랜드까지 포함해 K-뷰티 생태계 전체를 아우른다.

K-화장품은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여전히 최고 인기 쇼핑 아이템이다. 최근에는 K팝,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가 한국 여행의 동기가 되고, 한국 여행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선순환 구조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실제로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같은 대형 화장품 업체들은 물론 코스맥스, 한국콜마 같은 ODM(주문자개발생산) 업체들까지 중국 관광객 증가에 따른 수혜를 기대하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번 기회를 투자자들에게 적극 어필하고 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8월 22일까지 'Summer Hot Event'를 진행하며, 해당 ETF 2종의 매수 조건을 충족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경품을 제공한다.

이승원 미래에셋자산운용 디지털플랫폼본부장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허용은 단순한 관광 활성화 차원을 넘어 내수 소비 진작과 함께 관련 기업 주가들에게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TIGER ETF를 통해 수혜가 예상되는 국내 소비 업종에 적극 투자해볼 수 있다"며 "특히 개별 종목 선택의 어려움 없이 업종 전체의 성장 가능성에 베팅할 수 있다는 것이 ETF 투자의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라는 정책적 호재가 실제 투자 수익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할 일이지만, 그동안 부진했던 국내 소비주들에게는 분명한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투자자들은 정책 효과의 지속성과 실제 관광객 유입 규모 등을 면밀히 살펴본 후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29.51 ▲5.14
코스닥 816.71 ▲2.61
코스피200 437.21 ▲0.2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500,000 ▲1,479,000
비트코인캐시 846,000 ▲4,000
이더리움 6,49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3,220 ▲120
리플 4,489 ▲13
퀀텀 3,124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439,000 ▲1,440,000
이더리움 6,486,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33,260 ▲160
메탈 1,089 ▲1
리스크 609 ▲1
리플 4,488 ▲15
에이다 1,265 ▲27
스팀 19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460,000 ▲1,460,000
비트코인캐시 845,500 ▲3,500
이더리움 6,49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33,140 ▲40
리플 4,490 ▲16
퀀텀 3,124 0
이오타 29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