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1(목)

SPC, 멕시칸 푸드 치폴레 국내 도입

아시아 최초 진출 … 합작법인으로 독점 운영권 확보

안재후 CP

2025-09-11 10:23:46

스캇 보트라이트 치폴레 CEO(오른쪽)와 허희수 SPC그룹 부사장 합작법인 설립 계약서에 서명하고 있다.[SPC그룹 제공]

스캇 보트라이트 치폴레 CEO(오른쪽)와 허희수 SPC그룹 부사장 합작법인 설립 계약서에 서명하고 있다.[SPC그룹 제공]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SPC그룹이 미국의 대표 멕시칸 푸드 브랜드 '치폴레(Chipotle Mexican Grill)'를 아시아 최초로 국내에 도입한다고 11일 밝혔다. SPC그룹 계열사 빅바이트컴퍼니는 '치폴레 멕시칸 그릴'과 합작 법인(S&C Restaurants Holdings Pte. Ltd.)을 설립하고 한국과 싱가포르 내 독점 운영권을 확보했다.

치폴레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해외 진출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치폴레가 SPC그룹의 글로벌 브랜드 운영 역량을 높이 평가한 결과로 해석된다. 빅바이트컴퍼니는 내년 서울 및 싱가포르에 1호점을 열 계획이다.

미국 MZ세대가 사랑하는 멕시칸 푸드 선두주자
1993년 미국에서 시작된 치폴레는 부리토(Burrito)∙부리토 볼(Bowl) 타코(Taco)∙퀘사디아(Quesadilla) 등 멕시코 전통 요리를 현대적 감각으로 선보이는 패스트캐주얼(Fast Casual) 브랜드다. 치폴레의 성장 비결 중 하나는 기존의 페스트푸드점이 운영하던 메뉴와 시스템의 혁신이다. 맥도날드로 대표되는 대부분의 패스트푸드 업체는 가공식품이 혁신인 것에 반해 치폴레의 메뉴는 대부분의 재료가 원재료 그대로를 담는 방식이다.

색소·향·보존료를 배제하고 신선한 재료를 매장에서 매일 조리하는 '진정성 있는 음식'(Food with Integrity)을 표방한다. 고객이 취향에 따라 다양한 토핑을 추가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가 특징이다.

햄버거나 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이너한 음식이었던 미국 서부식의 멕시코 요리를 거의 햄버거만큼 인기있는 메뉴로 만든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인들에게나 유학생들에게나 가장 사랑받는 멕시칸 체인점이다.

빠르게 성장한 치폴레는 2006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데 이어 2011년 S&P 500 지수에 편입되며 미국을 대표하는 외식 브랜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현재 미국·캐나다·영국·프랑스· 독일·쿠웨이트·아랍에미리트 등 7개국에 3800여 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치폴레는 디지털 역량을 회사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보고 있다.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치포트레인'(Chipotlanes) 이라는 디지털 주문 픽업 서비스와 우버이츠와 포스트메이츠 등 제휴 음식 배달앱에서 매출을 포함한 디지털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2021년 7월에는 주가가 무려 $1,800에 달했지만 월가서는 아직도 저평가 상태인 주식이라며 상승 여력이 남아있다고 말하고 있는 상태다.

공격적 글로벌 확장 전략 일환
이번 치폴레 도입은 SPC그룹의 공격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의 연장선상에 있다. SPC그룹은 허영인 회장의 경영 일선 복귀와 함께 북미와 아시아에 양대 생산기지를 구축한 SPC그룹은 이를 기반으로 2030년 글로벌 매출 10조원 목표 달성을 위한 '비전 2030'을 더욱 공격적으로 추진할 전망이다.

최근에는 미국 텍사스주에 약 15만㎡ 규모의 제빵공장 부지를 매입하고 1억6000만달러를 투자해 2027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생산 시설 건립에 돌입했다. 이 공장은 파리바게뜨가 진출한 미국과 캐나다, 향후 진출 예정인 중남미 지역에 베이커리 제품을 공급하는 생산기지로 활용될 예정이며, 2030년까지 연간 5억 개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확장될 전망이다.

SPC그룹의 글로벌 사업은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으로 진화하고 있다. 파리바게뜨는 최근 태국, 브루나이, 라오스 진출 계약으로 동남아시아 9개국 진출을 확정했으며,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의 할랄 인증 제빵공장 건립은 무슬림 시장 공략의 전략적 교두보가 될 전망이다.

글로벌 종합 식품기업 도약 이정표 될 것

스캇 보트라이트 치폴레 최고경영자(CEO)는 "다양성과 편의를 중시하는 외식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시장 진출은 치폴레에 엄청난 성장 기회"라며 "치폴레의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식품∙외식 분야에 전문적인 역량과 경험을 보유한 SPC그룹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과 싱가포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허희수 SPC그룹 부사장은 "미식 수준이 높은 한국과 싱가포르의 고객에게 세계적인 멕시칸 푸드 브랜드 치폴레를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며 "신선하고 건강한 치폴레의 맛을 현지 그대로 구현해 고객에게 특별한 미식 경험을 제공하고 국내와 글로벌 외식 트렌드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했다.

SPC그룹의 치폴레 국내 도입은 단순한 브랜드 유치를 넘어 글로벌 종합 식품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30년 글로벌 매출 10조원 목표 달성을 위한 '비전 2030' 실현에 치폴레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44.20 ▲29.67
코스닥 834.76 ▲1.76
코스피200 454.00 ▲3.9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549,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827,500 ▼4,500
이더리움 6,148,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9,710 ▼150
리플 4,209 ▲14
퀀텀 3,603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573,000 ▼147,000
이더리움 6,146,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9,720 ▼140
메탈 1,004 ▼4
리스크 529 ▲1
리플 4,210 ▲15
에이다 1,232 ▼1
스팀 18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51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828,500 ▼2,500
이더리움 6,140,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9,690 ▼200
리플 4,210 ▲12
퀀텀 3,624 ▲19
이오타 27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