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31(금)

네이버가 인바디에 투자한 이유는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찜’

안재후 CP

2025-10-30 14:44:05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네이버가 체성분 분석 기업인 인바디에 325억원을 투자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재정 투자를 넘어 네이버의 차세대 사업 전략을 보여주는 핵심 사건이다.

네이버가 인바디에 투자한 가장 큰 이유는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성에 있다. 인바디는 올해 초 기준 전체 매출의 83%를 해외에서 창출하는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다. 13개 해외 법인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 동부, 호주, 싱가포르, 베트남 등에 법인을 잇따라 설립하며 해외 시장 영향력을 확장 중이다. 네이버는 이러한 인바디의 글로벌 입지와 성장성에 주목해 투자 결정을 내렸다.

특히 인바디는 체성분 분석 제품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1억8000만개가 넘는 체성분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중요한 자산으로 작용할 수 있다.

1억8000만개 체성분 데이터 보유
네이버는 오래전부터 헬스케어를 미래의 핵심 먹거리로 지정해왔다. 네이버의 스타트업 투자 조직인 D2SF가 투자하는 118개 스타트업 가운데 18%가 헬스케어 스타트업이다. AI 슬립테크 프라나큐, AI 식단 영양 분석 누비랩, 의료 AI 모니터코퍼레이션 등 AI 기술과 헬스케어를 접목한 기업들이 주요 투자 대상이다.

네이버는 이미 'CLOVA 케어콜'이라는 AI 기반 건강 모니터링 서비스를 병원·지자체와 연계해 운영하고 있으며, 의료 데이터 플랫폼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지난 8월에는 임상시험 플랫폼 기업인 제이앤피메디에 투자하며 국가 전략 자산인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활용 인프라 구축에도 나섰다.

인바디와의 협력이 의미 있는 이유는 AI 기술과의 결합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인바디도 내부적으로 AI 신사업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의 AI 기술과 인바디의 체성분 분석 기술이 만나면 개인화된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이 가능해질 수 있다.

네이버가 보유한 AI 기술력과 인바디의 글로벌 유통망, 그리고 1억8000만개 이상의 체성분 데이터가 결합된다면, 예측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등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질적 협력으로 한 발 더

이번 투자는 금융 투자에만 그치지 않는다. 네이버는 인바디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로 했으며, 구체적인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공략 방안을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인바디 관계자는 "단순 투자 목적은 아니고 인바디의 헬스케어 사업과 관련해 네이버와 협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명시했다.
이번 투자로 네이버는 인바디의 지분 8.5%를 확보하게 되며, 차기철 대표(18.14%), 피델리티매니지먼트&리서치컴퍼니(9.99%), 차인준 기획조정실 상무(9.79%)에 이어 인바디의 4대 주주가 된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의미도 있다. 인바디는 사용자 동의 하에 체성분 데이터와 솔루션을 제공하며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여기에 네이버의 플랫폼 기술과 AI 역량이 더해진다면,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의 존재감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의 인바디 투자는 단순한 주식 매입이 아니라, 차세대 헬스케어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자 한국 기업의 글로벌 확장 전략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86.89 ▲5.74
코스닥 890.86 ▼10.73
코스피200 575.21 ▲3.7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730,000 ▼501,000
비트코인캐시 811,000 ▼2,000
이더리움 5,698,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23,090 ▼60
리플 3,707 ▼26
퀀텀 2,784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646,000 ▼662,000
이더리움 5,701,000 ▼29,000
이더리움클래식 23,090 ▼100
메탈 675 ▼9
리스크 302 ▼5
리플 3,705 ▼30
에이다 911 ▼13
스팀 124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560,000 ▼740,000
비트코인캐시 809,000 ▼3,500
이더리움 5,695,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3,100 ▼40
리플 3,703 ▼26
퀀텀 2,781 ▼19
이오타 20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