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1(화)
(사진=연합)
(사진=연합)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을 웃도는 규모로 가파르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가능한 26개국 중에서 최고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고금리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기업, 민간, 중앙정부 등 한국 경제 전반으로 리스크 관리에 빨간불이 켜진 모습이다.

3일 국제통화기금(IMF)의 최근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08.1%를 기록, 5년 전인 2017년(92.0%)보다는 16.2%포인트 증가했다.

민간부채(가계·기업) 데이터가 집계되는 26개국 중에서 한국만 유일하게 두자릿수대 증가폭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 슬로바키아 9.1%포인트, 일본 7.7%포인트, 요르단 6.0%포인트, 룩셈부르크 3.9%포인트, 칠레 2.8%포인트, 스위스 2.5%포인트, 독일 2.3%포인트 순이었다.

반면 미국(79.5→77.0%)을 비롯해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폴란드 등은 가계부채 비중이 감소했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이 빠르게 늘면서 절대 수준도 스위스(130.6%)에 이어 2위로 뛰어올랐다. 2017년에는 26개국 중 7위였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저금리 속에서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며 "대량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이뤄지는 우리나라 특유의 주택구입 시스템과 맞물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업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가파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금창출 능력이 떨어지는 회사들의 부채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포인트 증가했다.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증가폭이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급증하면서 GDP 대비 민간부채(가계+기업) 비율 역시 초고속으로 상승했다.

한국의 민간부채의 비율은 2017년 238.9%에서 지난해 281.7%로 42.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26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한국의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전체 11위였지만, 가파른 상승세로 매년 순위를 끌어올리면서 지난해에는 전체 2위로 올라섰다.

중앙정부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에 직면해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정부 부채는 GDP 대비 54.3%를 기록했다. 2017년 40.1%보다 14.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정부부채 증가폭은 비교가능한 87개 가운데 16번째를 기록했다.

이성수 글로벌에픽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723.78 ▼18.36
코스닥 846.01 ▼1.07
코스피200 371.65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