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9일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TOP10 액티브(A0086B0)' ETF를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 상품은 국내 대표 우량 리츠 및 인프라 10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액티브형 ETF로, 연 7%대의 분배율이 예상된다.
이 ETF의 가장 큰 특징은 맥쿼리인프라에 29.5%의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어 신한알파리츠(12.6%), SK리츠(12.3%), 롯데리츠(11.1%), ESR켄달스퀘어리츠(11.0%) 등이 주요 구성 종목으로 포함되어 있다. 현재 상장된 리츠 ETF 중 맥쿼리인프라 비중이 가장 높은 상품으로 평가된다.
박현정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 애널리스트는 "액티브형의 경우 유상증자 이벤트 발생 시 유상증자에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것이 아닌 선택의 영역"이라며 "기초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패시브형과 달리 펀드매니저의 판단에 따라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세제 혜택도 주목할 만하다. ETF를 포함한 공모부동산펀드나 공모리츠에 투자할 경우 3년간 최대 5000만원 한도로 9.9% 분리과세 혜택이 적용된다. 리츠 ETF에 3년 투자하여 평균 분배율 7%를 가정하면 3년간 배당금 1050만원을 받을 때 약 57만7000원까지 절세가 가능하다. 다만 이 혜택은 투자자가 증권사를 통해 직접 분리과세를 신청해야 한다.
동시에 출시되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10 채권혼합액티브(A0086C0)'도 주목받고 있다. 이 상품은 앞서 언급한 리츠 ETF와 같은 종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50%와 국내 단기채권 50%로 구성되며, 연 3~4%대의 분배율이 예상된다.
채권혼합형 ETF의 가장 큰 장점은 퇴직연금 계좌에서 100%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안정형 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위험자산 투자 한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주식형 70%와 채권혼합형 30%로 투자할 경우 위험자산 비중을 최대 85%까지 확대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는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3790억원), PLUS K 리츠(100억원), WON한국부동산 TOP3 플러스(98억원) 등의 리츠 관련 ETF가 상장되어 있다. 새롭게 출시되는 액티브 리츠 ETF는 기존 패시브 상품들과 차별화된 운용 전략으로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