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13(화)

정부, 7년 만에 한일 재무장관회의 재개 검토

2016년 이후 대화 중단…대화 채널 복원해 금융·외환 부문 협력 강화

박현 CP

2023-03-21 09:35:00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6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한일 확대정상회담을 갖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6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한일 확대정상회담을 갖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과 일본이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관계 정상화에 나서면서 지난 2016년 이후 중단된 한일 재무장관회의가 7년 만에 재개될지 주목된다.

양국 재무 당국 간 대화 채널을 복원함으로써 금융·외환 부문 협력의 첫발을 뗄 것으로 보인다.

21일 당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한일 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 양국 재무장관회의 재개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한일 재무장관회의는 한국의 기획재정부 장관과 일본의 재무상 등 재무 당국 수장이 참석해 경제협력 방안 등을 논의하는 협력 채널이다.
2006년 노무현 정부에서부터 이어져 오다가 2017년 부산의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 2019년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등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냉각되면서 중단된 상태다.

2016년 8월 유일호 당시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만난 것이 마지막이다.

최근 양국이 관계 정상화를 천명하며 금융·외환 협력을 늘려가기로 한 만큼, 재무 당국 간 대화채널 복원이 먼저 이뤄질 예정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후 “외교·경제 당국 간 전략대화를 비롯해 양국의 공동이익을 논의하는 협의체들을 조속히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양국 금융·외환 부문의 협력은 G20회의나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3국(한·중·일) 회의와 같은 국제무대 공조 강화 등이 거론된다.

다만 한일 통화스와프는 당장 논의 테이블에 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금융시장 등을 고려할 때 시급한 사안은 아니라는 인식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박현 글로벌에픽 기자 neoforum@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08.42 ▲1.09
코스닥 731.88 ▲6.48
코스피200 347.17 ▲0.9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147,000 ▲452,000
비트코인캐시 564,000 ▲4,000
이더리움 3,487,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27,390 ▲20
리플 3,532 ▼3
이오스 1,215 0
퀀텀 3,487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202,000 ▲466,000
이더리움 3,492,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7,430 ▲70
메탈 1,255 ▲5
리스크 796 ▲2
리플 3,535 ▲2
에이다 1,122 ▲4
스팀 22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160,000 ▲450,000
비트코인캐시 564,000 ▲4,000
이더리움 3,489,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7,490 ▲80
리플 3,533 0
퀀텀 3,447 0
이오타 33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