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13(화)

국민연금 최고 수익률 뒤에 감춰진 진실

화려한 수익률 뒤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5-13 10:38:58

김성일 이음연구소장, 경영학박사.

김성일 이음연구소장, 경영학박사.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국민연금공단이 지난해 160조원의 수익을 내며 역대 최고의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 1213조원, 수익금 160조원, 수익률 15.00%(잠정·금액가중수익률)를 기록했다. 1988년 국민연금에 기금이 설치된 이후 가장 높은 수익률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기금 설치 이후 수익률은 연평균 6.82%를 기록했으며, 누적 운용수익금은 총 738조원으로 집계됐다. 자산별 수익률은 해외주식 34.32%, 해외채권 17.14%, 대체투자 17.09%, 국내채권 5.27%, 국내주식 -6.94%로 각각 나타났다.

얼핏 보면 환호할 만한 성과지만, 이 화려한 수치들 뒤에 감춰진 진실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의 진정한 건전성은 겉으로 드러난 수치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다.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투명하고 냉정한 분석이 필요하다.

먼저, 우리가 직시해야 할 불편한 진실은 발표된 15.0%의 수익률(160조원)이 대부분 평가이익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는 실제 현금으로 실현된 이익이 아닌, 장부상 자산 가치 상승에 따른 '가상의 이익'이다. 평가이익은 시장 상황이 악화되면 언제든 증발할 수 있는 '종이 위의 숫자'에 불과하다.
국민연금은 전체 수익 중 실현이익과 평가이익의 비율을 명확히 공개하지 않고 있다. 만약 실현이익이 전체 수익의 30%에 불과하다면, 나머지 70%는 시장 변동에 따라 언제든 손실로 전환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이는 마치 집값이 올랐다고 부자가 됐다고 착각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두 번째 감춰진 진실은 국내 주식 투자의 참담한 실패다.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수익률은 -6.94%로, 배당 수익을 제외하면 실질 손실률은 -8.64%에 달한다. 이는 단순히 시장 하락의 결과라고 치부하기에는 너무나 큰 손실이다.

더 충격적인 것은 국민연금이 이러한 손실이 시장 평균과 비교해 얼마나 더 나쁜 성과인지 명확히 밝히지 않는다는 점이다. 만약 같은 기간 KOSPI 하락률이 -5%였다면, 국민연금은 시장보다도 1.94%p 더 나쁜 성과를 기록한 셈이다. 국민의 노후자금을 책임지는 전문가 집단이 일반 개인투자자보다도 못한 성과를 냈다는 의미다.

세 번째 감춰진 진실은 해외 주식 수익률의 과대포장이다. 34.32%라는 눈부신 해외 주식 수익률은 사실 미국 증시의 폭등과 원화 약세에 따른 환율 효과에 크게 의존한 결과다. 이는 단순히 ETF에 투자하는 것만으로도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국민연금의 '전문성'을 입증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더구나 이 수익의 대부분이 평가이익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실질적 성과로 보기 어렵다. 국민연금의 해외 주식 수익률을 MSCI ACWI EX KOREA 지수와 비교했을 때, 오히려 벤치마크보다 낮은 성과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벤치마크 수익률이 35%였다면, 국민연금은 오히려 시장보다 0.68%p 낮은 성과를 거둔 셈이다.

마지막으로, 국민연금은 15.0%라는 절대 수익률을 강조하지만, 전 세계 주요 연기금들은 시장 대비 초과 수익률을 기준으로 성과를 평가한다. 단순히 '얼마를 벌었나'가 아닌 '시장 대비 얼마나 더 잘했나'를 측정해야 진정한 운용 능력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 자산군별로 벤치마크 대비 초과 수익률을 계산하고, 위험을 감안한 샤프 비율(Sharpe Ratio)과 같은 지표를 활용해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글로벌 스탠다드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이러한 핵심 지표들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단순히 절대 수익률만을 강조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역대 최고 수익률이라는 화려한 포장지 뒤에는 이처럼 여러 불편한 진실이 숨겨져 있다. 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진정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평가이익과 실현이익의 명확한 구분, 벤치마크 대비 초과 수익률 분석, 위험 조정 수익률 등 보다 투명하고 객관적인 성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화려한 수치에 가려진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보를 공개할 때, 비로소 국민연금은 진정한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06.46 ▼0.87
코스닥 731.76 ▲6.36
코스피200 346.87 ▼0.21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612,000 ▼290,000
비트코인캐시 562,000 ▲1,000
이더리움 3,46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7,340 ▲10
리플 3,521 ▲17
이오스 1,215 ▼1
퀀텀 3,485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694,000 ▼207,000
이더리움 3,464,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7,330 ▲50
메탈 1,252 ▲8
리스크 791 ▲2
리플 3,521 ▲19
에이다 1,113 ▼3
스팀 22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4,620,000 ▼320,000
비트코인캐시 563,500 ▲1,500
이더리움 3,463,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7,410 ▲100
리플 3,522 ▲17
퀀텀 3,447 ▲32
이오타 32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