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4(목)

뷰스컴퍼니-고려대 김성철 교수, SSCI 등재 국제학술지 공동 논문 발표

– 뷰티 유튜브 채널 50개 분석… 재방문 시청자의 ‘시청 시간’이 수익에 가장 큰 영향

이수환 CP

2025-07-18 09:00:00

뷰스컴퍼니-고려대 김성철 교수, SSCI 등재 국제학술지 공동 논문 발표
[글로벌에픽 이수환 CP] 크리에이터 기반 콘텐츠 IP 전문기업 뷰스컴퍼니(대표 박진호)와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 김성철 교수 연구팀(엄세원 석사과정, 박재영 박사과정, 최유진 석사과정 포함)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가 SSCI(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에 등재된 국제 학술지 ‘Computers in Human Behavior’에 게재됐다.

Computers in Human Behavior’은 2024년 기준으로 JCR 범주 중 Human-Computer Interaction 범주에서 187개 저널 중 7위를, Arts and Humanities (miscellaneous) 범주에서 773개 저널 중 6위를 차지한 최상위 학술지이다.

이번 발표된 논문은 뷰스컴퍼니가 실제 운영 중인 뷰티 유튜브 채널 50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튜브 채널의 성공에 주요하게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논문에 따르면, 전체 시청 시간은 유튜브 수익을 예측하는 핵심 지표이며, 이 중에서도 재방문 시청자의 시청 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적인 시청 경험이 수익 창출의 핵심 요인이라는 점도 함께 확인됐다. 또한, 사용자 행동을 △신규 시청(cognitive) △재방문 시청(affective) △구독(conative) △좋아요(active)의 4단계로 나누어 정량 분석한 점이 특징이다.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유튜브 플랫폼에서의 충성도는 기존 소비자 행동 이론처럼 선형적이고 고정된 구조로 작동하기보다는 유연하고 반복적인 시청자 참여에 기반하여 작동하는 동적인 구조로 작동한다.

뷰스컴퍼니-고려대 김성철 교수, SSCI 등재 국제학술지 공동 논문 발표
뷰스컴퍼니는 “실제 유튜브 채널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계와 협력해 실무에 적용이 가능한 전략 인사이트를 도출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뷰티 크리에이터 산업의 전문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기반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뷰스컴퍼니 산하 MCN ‘비라운드(BROUND)’의 크리에이터 운영 체계 전반에 적용될 예정이다. 박진호 대표는 “채널 운영 과정에서의 고민을 학문적으로 정리한 뜻깊은 성과”라며 “이를 바탕으로 크리에이터 채널 전략을 재정비하고, 데이터 기반 콘텐츠 전략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로벌에픽 이수환 CP / lsh@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3.77 ▲13.83
코스닥 813.56 ▲0.59
코스피200 430.04 ▲1.9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70,000 ▲1,370,000
비트코인캐시 701,000 ▲10,000
이더리움 4,950,000 ▲67,000
이더리움클래식 30,800 ▲400
리플 4,369 ▲117
퀀텀 3,200 ▲4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206,000 ▲1,442,000
이더리움 4,955,000 ▲66,000
이더리움클래식 30,840 ▲460
메탈 1,105 ▲12
리스크 667 ▲12
리플 4,374 ▲109
에이다 1,120 ▲26
스팀 208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330,000 ▲1,550,000
비트코인캐시 702,000 ▲9,500
이더리움 4,957,000 ▲65,000
이더리움클래식 30,870 ▲470
리플 4,370 ▲113
퀀텀 3,100 0
이오타 28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