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3(수)

르노코리아, 완성차 업계 최초 임금협상 잠정합의…기본급 10만3500원 인상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효과' 속에서 노사 상생의 임금 합의 도출

신승윤 CP

2025-07-23 14:31:06

르노코리아, 완성차 업계 최초 임금협상 잠정합의…기본급 10만3500원 인상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인 노사관계를 유지해온 르노코리아가 완성차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임금협상 합의점을 찾았다. 프랑스 자동차 업체인 르노그룹의 한국 사업장인 르노코리아가 대표 노조인 르노코리아 노동조합과 지난 22일 진행한 2025년 임금협상 9차 본교섭에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고 23일 밝혔다.

완성차 업계 첫 번째 합의 성과

이번 잠정합의는 국내 완성차 5사(현대자동차·기아·르노코리아·KG모빌리티·한국GM) 중에서 르노코리아가 첫 번째로 이뤄낸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 다른 완성차 업체들이 노조의 강경한 요구안과 경영진의 어려운 입장 사이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르노코리아는 비교적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냈다.

르노코리아 노사는 이번 잠정합의안에서 기본급 10만3500원 인상에 합의했다. 이는 현재 물가 상승률과 업계 평균 수준을 고려한 합리적인 인상폭으로 평가된다. 또한 타결 일시금으로 총 250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생산성 격려금(변동 PI)은 150%로 설정했다. 이러한 합의 내용은 회사의 경영 상황과 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
미래를 대비한 제도 개선 약속

특히 주목할 부분은 단순한 임금 인상을 넘어 장기적인 제도 개선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노사는 임금협상 타결 후 1개월 이내에 '2026년 단체협약을 위한 선행적 노사공동 인사제도 개선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 위원회는 노사 각 10인씩 총 20인으로 구성되며, 임금 피크제, 통상임금 등을 포함한 임금구조 개선과 근무환경 개선 등 다양한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히 올해 임금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향후 지속가능한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의미가 크다.

그랑 콜레오스 성공이 만든 상생 분위기

르노코리아의 이번 원만한 임금협상 타결 배경에는 신차 그랑 콜레오스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출시된 그랑 콜레오스 E-Tech 하이브리드는 출시 첫 75일 만에 2만2034대가 판매되며 르노코리아의 내수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그랑 콜레오스는 2024년 9월 첫 한 달간 3900대나 판매되어 르노코리아 판매량의 77%를 차지했고, 오랜만에 대한민국 차량 판매 순위 10위권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뒀다. 2024년 한 해 동안 르노코리아의 매출이 전년 대비 80% 증가했는데, 언론은 이를 그랑 콜레오스 효과로 분석하고 있다.
245마력의 동급 최고 수준 시스템 출력을 발휘하는 그랑 콜레오스 E-Tech 하이브리드는 뛰어난 정숙성과 함께 첨단 안전·편의 기본 사양, 안정적인 주행 성능, openR 파노라마 스크린을 통한 다양한 커넥티비티 서비스 등을 선사하는 수준 높은 패밀리 SUV로 평가받고 있다.

르노코리아의 전반적인 사업 성과

르노코리아는 2024년 한 해 동안 내수 3만9816대, 수출 6만7123대를 포함해 총 10만6939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2.6%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그랑 콜레오스뿐만 아니라 QM6의 꾸준한 판매와 아르카나의 해외 수출 호조에 힘입은 결과다.

QM6는 누적 판매 25만 대를 돌파하며 꾸준한 인기를 이어갔고, 수출 시장에서는 아르카나가 5만8801대로 가장 많이 판매되었으며, QM6도 8301대가 선적되는 등 해외에서도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완성차 업계 임금협상 현황과 대조

르노코리아의 원만한 합의는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어려운 협상 상황과 대조를 이룬다. 현재 국내 완성차 5사가 2025년 임금 및 단체협상에 돌입한 가운데, 주요 노조들이 역대급 요구안을 제시해 협상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특히 현대차·기아 노조는 정년연장과 같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의제까지 협상 카드로 꺼내 들었고, 성과급 규모 확대와 주 4일제 요구 등으로 인해 협상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GM의 경우는 이미 교섭 결렬로 세 차례 부분 파업에 돌입한 상황이다.

자동차 산업의 2025년 전망

국내 자동차 산업은 2025년 복합적인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가 발표한 '2024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5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자동차산업은 판매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전년도 기저 효과로 내수는 소폭 반등이 예상된다.

글로벌 자동차 수요는 중국 시장의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물가 안정, 금리 인하, 인센티브 확대 등으로 구매 여건이 개선되며 전년 대비 3.3% 증가한 9471만 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국내 시장은 경기 침체, 고금리, 높은 가계부채 등의 영향으로 신차 구매 의향이 감소하는 추세다.

트럼프 관세와 글로벌 불확실성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자동차 업계에 직격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들은 "미국발 관세 협상 진척이 이뤄지지 않고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가중되는 현 상황"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이러한 대외 환경의 악화는 주요 제조사들의 영업이익을 수조원 단위로 감소시킬 전망이어서,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임금협상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르노코리아의 차별화된 접근

이런 상황에서 르노코리아의 원만한 합의는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선 그랑 콜레오스의 성공적인 출시로 회사의 재정 상황이 개선된 점이 협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르노코리아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사업장으로 노사 간 소통이 원활하다는 장점도 있다.

무엇보다 르노코리아는 단순한 임금 인상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고, 장기적인 제도 개선을 통한 상생 발전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다른 업체들과 차별화된다. 노사공동 인사제도 개선위원회 구성은 이러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최종 결정 단계와 향후 전망

르노코리아의 이번 노사 잠정합의안은 조합원 설명회를 거쳐 오는 25일 사원총회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업계에서는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최종 승인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합의안이 최종 통과될 경우, 르노코리아는 노사관계 안정과 함께 생산성 향상에 더욱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그랑 콜레오스의 지속적인 판매 증가와 함께 올해 하반기 계획된 수출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 미치는 파급효과

르노코리아의 원만한 임금협상 타결은 다른 완성차 업체들에게도 참고 모델이 될 수 있다. 단순히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대립적 구조를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접근법은 다른 기업들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 대비한 제도 개선 논의를 협상 과정에 포함시킨 것은 혁신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기술 발전에 따른 업무 변화와 인력 재배치 문제는 모든 자동차 업체가 직면한 공통 과제이기 때문이다.

르노코리아의 이번 성공적인 임금협상 타결은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노사가 지혜를 모으면 상생의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다. 앞으로 다른 완성차 업체들의 임금협상 결과와 자동차 산업 전반의 변화 양상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3.77 ▲13.83
코스닥 813.56 ▲0.59
코스피200 430.04 ▲1.9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73,000 ▼1,23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21,500
이더리움 4,875,000 ▼96,000
이더리움클래식 30,100 ▼1,440
리플 4,413 ▼230
퀀텀 3,189 ▼1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37,000 ▼1,355,000
이더리움 4,850,000 ▼111,000
이더리움클래식 30,030 ▼1,380
메탈 1,113 ▼44
리스크 673 ▼29
리플 4,387 ▼253
에이다 1,101 ▼55
스팀 209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80,000 ▼1,200,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20,500
이더리움 4,881,000 ▼9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90 ▼1,420
리플 4,428 ▼214
퀀텀 3,188 ▼143
이오타 28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