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플리트상은 6.25전쟁 당시 미8군 사령관을 지낸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1892-1992)을 기리기 위해 1992년 제정된 상이다. 밴 플리트 장군은 한국전쟁 중 2년간 유엔지상군 사령관 겸 미8군 사령관으로 복무하며 북한과 중공군의 공세를 차단하고 한국군의 현대화에 크게 기여했다.
밴플리트 장군, 6.25 전쟁 때 미8군 사령관 지내
특히 그는 국군 장교 2000명을 미국의 포트 베닝 보병학교를 비롯한 각 병과학교에 보내 교육받게 하고, 우리의 육군사관학교를 미 육사와 같은 4년제로 발전시켰다. 전쟁 중에도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해 1951년 진해에서 4년제 정규사관학교로 재창설하는 등 한국군 현대화의 초석을 놓았다.
30여 년간 쌓아온 권위와 의미
코리아소사이어티가 주관하는 밴플리트상은 한미 양국 간 이해와 협력, 우호 증진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매년 수여되며, 시상식은 뉴욕에서 개최된다. 1992년 제정 이래 정치·경제·문화·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미관계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역대 수상자 명단을 보면 밴플리트상의 권위를 짐작할 수 있다. 정치 분야에서는 김대중 전 대통령(2007년),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2004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2000년), 조지 H.W. 부시 전 미국 대통령(2005년) 등이 수상했다.
경제계에서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2006년),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주요 기업인들이 한미 경제협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2020년에는 글로벌 아티스트로는 최초로 방탄소년단(BTS)이 K-POP과 문화외교를 통한 한미우호 증진 공로로 수상해 화제가 됐다. 같은 해 대한상공회의소도 경제단체로서는 최초로 공동 수상했다.
“포스코, 미국 내 전략적 투자 확대” 평가
이는 단순한 투자를 넘어 미국의 산업 경쟁력 회복과 공급망 안정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전략적 협력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청정에너지와 첨단 소재 분야에서의 협력은 양국이 추진하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정책에도 부합하는 미래지향적 협력 모델로 평가받는다.
공동 수상한 CSGK는 美의회 친한 연합체
올해 장인화 회장과 함께 공동 수상하는 코리아스터디그룹(CSGK)도 주목할 만하다. 2018년 창설된 미국 의회 내 초당적 친한 연합체인 CSGK는 한미 상호 이해와 협력 증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의원 연수단 활동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과 한국 간 초당적 이해와 협력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민간 기업인과 미국 의회 단체가 함께 수상하는 것은 한미동맹이 정부 차원을 넘어 민간과 의회, 경제와 정치 등 다층적 협력 구조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