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4(목)

포스코 장인화 회장이 받는 ‘밴플리트상’은?

한미 관계 발전 기여 공로 … 김대중·반기문·BTS도 받아

안재후 CP

2025-07-23 10:50:41

포스코 장인화 회장

포스코 장인화 회장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올해 밴플리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미국 뉴욕의 한미 친선 비영리단체 코리아소사이어티가 22일 발표한 이번 수상은 한미 관계 발전에 기여한 인물에게 주어지는 최고 권위의 상으로, 장 회장은 미국 의회 코리아스터디그룹(CSGK)과 함께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밴플리트상은 6.25전쟁 당시 미8군 사령관을 지낸 제임스 밴 플리트 장군(1892-1992)을 기리기 위해 1992년 제정된 상이다. 밴 플리트 장군은 한국전쟁 중 2년간 유엔지상군 사령관 겸 미8군 사령관으로 복무하며 북한과 중공군의 공세를 차단하고 한국군의 현대화에 크게 기여했다.

밴플리트 장군, 6.25 전쟁 때 미8군 사령관 지내

특히 그는 국군 장교 2000명을 미국의 포트 베닝 보병학교를 비롯한 각 병과학교에 보내 교육받게 하고, 우리의 육군사관학교를 미 육사와 같은 4년제로 발전시켰다. 전쟁 중에도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해 1951년 진해에서 4년제 정규사관학교로 재창설하는 등 한국군 현대화의 초석을 놓았다.
전쟁 후에도 밴 플리트 장군은 대한민국 지원과 전쟁고아 돕기 운동을 지속했으며, 1953년에는 외국인 최초로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수훈받았다. 이후 1957년 코리아소사이어티를 창립해 한미 간 상호 이해와 우호 증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30여 년간 쌓아온 권위와 의미

코리아소사이어티가 주관하는 밴플리트상은 한미 양국 간 이해와 협력, 우호 증진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매년 수여되며, 시상식은 뉴욕에서 개최된다. 1992년 제정 이래 정치·경제·문화·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미관계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역대 수상자 명단을 보면 밴플리트상의 권위를 짐작할 수 있다. 정치 분야에서는 김대중 전 대통령(2007년),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2004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2000년), 조지 H.W. 부시 전 미국 대통령(2005년) 등이 수상했다.

경제계에서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2006년),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주요 기업인들이 한미 경제협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2020년에는 글로벌 아티스트로는 최초로 방탄소년단(BTS)이 K-POP과 문화외교를 통한 한미우호 증진 공로로 수상해 화제가 됐다. 같은 해 대한상공회의소도 경제단체로서는 최초로 공동 수상했다.

“포스코, 미국 내 전략적 투자 확대” 평가
장인화 회장은 이번 수상에서 미국 산업 생태계 재건과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지원하며 한미 간 정치·경제적 유대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코리아소사이어티는 "포스코그룹이 장 회장의 리더십 아래 루이지애나 제철소 건설, 유타주 리튬 직접추출(DLE) 시범 프로젝트, 셰니에르 및 멕시코퍼시픽과 체결한 장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계약을 통해 미국 내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단순한 투자를 넘어 미국의 산업 경쟁력 회복과 공급망 안정화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전략적 협력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청정에너지와 첨단 소재 분야에서의 협력은 양국이 추진하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 정책에도 부합하는 미래지향적 협력 모델로 평가받는다.

공동 수상한 CSGK는 美의회 친한 연합체

올해 장인화 회장과 함께 공동 수상하는 코리아스터디그룹(CSGK)도 주목할 만하다. 2018년 창설된 미국 의회 내 초당적 친한 연합체인 CSGK는 한미 상호 이해와 협력 증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의원 연수단 활동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과 한국 간 초당적 이해와 협력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민간 기업인과 미국 의회 단체가 함께 수상하는 것은 한미동맹이 정부 차원을 넘어 민간과 의회, 경제와 정치 등 다층적 협력 구조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3.77 ▲13.83
코스닥 813.56 ▲0.59
코스피200 430.04 ▲1.9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00,000 ▼258,000
비트코인캐시 691,000 ▼1,500
이더리움 4,883,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30,400 ▼140
리플 4,252 ▼62
퀀텀 3,156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64,000 ▼220,000
이더리움 4,889,000 ▲17,000
이더리움클래식 30,430 ▼120
메탈 1,094 ▼6
리스크 654 ▼5
리플 4,265 ▼55
에이다 1,094 ▼9
스팀 20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80,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692,500 ▼1,000
이더리움 4,892,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30,400 ▼110
리플 4,257 ▼63
퀀텀 3,100 ▼20
이오타 28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