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23(수)

K뷰티, 아마존 프라임데이서 1위 독주..."미국 뷰티 시장 트렌드세터로 부상"

메디큐브 브랜드 점유율 9.3%로 압도적 1위, 대형 리테일러들 K뷰티 적극 유치 나서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7-23 11:07:43

K뷰티, 아마존 프라임데이서 1위 독주..."미국 뷰티 시장 트렌드세터로 부상"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미국 최대 온라인 쇼핑 행사인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거두며 K뷰티의 위상 변화를 입증했다.

교보증권이 23일 발표한 화장품 업종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7월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에서 메디큐브가 뷰티 브랜드 중 점유율 1위(9.3%)를 기록했다. 이는 2위 뉴트라폴(5.3%), 3위 세라비(5.1%)와 비교해 약 2배 가까운 격차로, 파편화된 아마존 뷰티 부문 특성상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평가됐다.

과거 바이오던스, COSRX가 개별 제품 기준 1위를 기록한 적은 있었지만, 브랜드 전체 점유율 1위는 이례적이다. 특히 메디큐브는 아마존 내 유료 광고 지출비가 높지 않았음에도 1위를 차지해 주목받았다.

메디큐브의 아마존 점유율은 1분기 3.8%에서 2분기 4.6%, 7월 프라임데이 9.3%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메디큐브의 프라임데이 매출은 3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작년 3분기 미국 매출액 396억원을 감안할 때 매우 고무적인 수치다. 이외에도 라네즈와 바이오던스가 각각 9위, 10위를 기록하며 K뷰티의 강세를 보여줬다.
K뷰티가 미국 화장품 주류 시장으로 진입하면서 대형 리테일러들이 K뷰티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ULTA는 올해 2월 아누아와 직거래 및 전 점포 입점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최근 메디큐브와도 직거래를 추진 중이다. ULTA 8월 신규 입점 브랜드 중에도 13개의 K뷰티 브랜드가 포함될 만큼 확대 기조가 뚜렷하다.

세포라 역시 2024~2025년 K뷰티 카테고리를 2배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로 조선미녀와 토리든이 7월, 세포라 전 점포에 입점을 진행 중이다.

리테일러가 먼저 카테고리 확대에 나설 경우, 매대 확대 측면에서 브랜드가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 실제로 E.L.F.의 경우 2019년에서 2023년 사이 타깃 매대는 평균 10피트에서 12피트로, 월마트는 4피트에서 7피트로, ULTA는 4피트에서 8피트로 늘며 매출이 증가했다.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공급률 협상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달바는 최근 코스트코 채널과 입점 논의 중인데, 과거보다 10%포인트 중후반 높은 수준에서 공급률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권우정 교보증권 애널리스트는 "K뷰티는 미국 시장에서 아마존 등 온라인 DTC 채널 중심으로 성장해왔다는 점에서 과거 E.L.F. 뷰티의 성장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E.L.F.는 미국 시장 진출 이후 약 13년이 지나서야 ULTA 전 점포 직거래 입점이 성사되었지만, 최근 아누아와 메디큐브는 진출 3년이 채 되지 않아 ULTA와 전 점포 직거래 계약을 체결했다.
권 애널리스트는 "K뷰티가 단순히 미국 시장에 비주류에서 주류로 진입한 것을 넘어, 미국 뷰티 시장의 트렌드세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미국 전체 화장품 시장에서 오프라인 비중이 약 70% 수준임을 감안하면 K뷰티의 오프라인 비중 확대 여력이 충분하다"고 전망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3.77 ▲13.83
코스닥 813.56 ▲0.59
코스피200 430.04 ▲1.9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18,000 ▼242,000
비트코인캐시 717,000 ▼2,000
이더리움 5,01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32,250 ▼150
리플 4,722 ▼14
퀀텀 3,394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82,000 ▼144,000
이더리움 5,016,000 0
이더리움클래식 32,260 ▼130
메탈 1,171 ▲1
리스크 707 ▲11
리플 4,721 ▼12
에이다 1,184 ▼3
스팀 224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50,000 ▼350,000
비트코인캐시 716,000 ▼4,000
이더리움 5,020,000 0
이더리움클래식 32,320 ▼170
리플 4,722 ▼13
퀀텀 3,404 ▲15
이오타 30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