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글로벌 주식전략팀장은 이날 발표한 리포트에서 "7월을 지나오면서 미국 주식시장을 둘러싼 탄탄한 펀더멘탈이 재확인됐지만, 8월 한 달만 놓고 보면 단기적인 고민거리들이 많이 쌓였다"고 분석했다.
7월 미국 주식시장은 여러 긍정적 요인이 맞아떨어지면서 강세를 이어갔다. S&P 500 지수는 6,300포인트를 돌파하며 신고가를 경신했고, 나스닥 지수도 21,000포인트 고지를 밟았다.
김 팀장은 "미국 경기에 대한 인식이 최악을 탈피할 조짐을 보였고, 2분기 실적 시즌이 서프라이즈 우위를 보이면서 AI를 중심으로 한 기업이익 모멘텀이 강성하다"며 "6월까지는 주도주만 강했다면, 7월부터는 주도주 이외의 종목들도 상승세에 가담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주도 테마를 이끌고 있는 주도주들은 200일 이격도가 100%를 상회하는 과열 상황에 놓여 있다. S&P 500과 나스닥도 경험적인 이격도 상단에 근접한 상태다.
김 팀장은 "S&P 500은 2020년 9월 이후 100일 이격도가 10%를 넘어간 적이 없는데 현재 8.8% 수준"이라며 "높은 이격도가 급락이나 약세 반전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이격도 과열은 식히는 기간 조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8~9월 거시적 이벤트 대기... 지표 민감도 높아질 전망
8~9월에는 그간 방향성이 정해지지 못했던 거시적 이벤트들의 결말이 확인될 예정이다. 상호관세 협상 시한 만료가 임박하면서 정책 불확실성이 고개를 들고 있으며, 9월 FOMC까지 경제지표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 팀장은 "만약 관세 충격이 급한 형태의 일시적 충격으로 나타난다면, 이는 시차를 두고 기준금리 기대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며 "시장이 금리 인하 기대를 걸고 있는 9월 FOMC까지 경제지표에 대한 민감도가 지금까지의 랠리 구간보다는 높아질 공산이 크다"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는 빅테크 중 실적 개선주와 선별적 민감주 플레이를 추천했다. 금융, 산업재 업종을 주목하고 있으며, 각각 자본시장 호황과 스테이블 코인, 전력과 방산 관련 자본지출 등의 모멘텀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 팀장은 "주식시장의 최근 모멘텀이 강력했고 중기적 관점에서의 전망은 더욱 견고해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8월 중 이격을 더 키우기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은 국면"이라며 "4분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미국 주식시장의 비중을 늘릴 기회가 도래할 공산이 크다"고 강조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