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7.31(목)

정의선 회장도 워싱턴 行 … 車 관세인하 ‘올인’

김동관·이재용 이어 관세협상 막판 힘 보태다

안재후 CP

2025-07-30 13:29:41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월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식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는 모습. [사진 = 현대차그룹 제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월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식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는 모습. [사진 = 현대차그룹 제공]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8월 1일 미국의 25% 상호관세 발효를 사흘 앞둔 30일, 대한민국 경제계가 총력전에 돌입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이날 오후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하며,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 이어 세 번째 재계 인사로 미국행에 합류했다.

이는 단순한 기업 차원의 로비가 아닌, 국가 경제의 존망이 걸린 초유의 '재계 총동원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통보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와 기업계는 막판 협상을 위해 가용한 모든 카드를 꺼내 들고 나선 것이다.

지난 3월 대규모 투자계획 발표

정 회장의 합류는 특히 의미가 크다. 글로벌 3위 완성차 그룹 수장이자 앞서 트럼프 행정부와 함께 대규모 현지 투자를 발표한 정 회장이 이에 합류하면서 우리나라 관세협상단 행보에는 큰 힘이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정 회장의 이 같은 행보는 주요 경쟁국들이 이미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성과를 거둬 위기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일본과 유럽연합(EU)이 자동차 관세 인하에 연달아 성공하면서, 현대자동차 입장에서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국만 현행 관세가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일본 토요타, 독일 폭스바겐 등 경쟁업체에 비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삼성-현대차-한화, 각자의 협상 카드

한편 이에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9일 오후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워싱턴으로 출국했다. 이 회장은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 및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기술 협력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도 조선 산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를 구체화 시키기 위해 구체화 협상단에 합류했다.

이번 재계 총수들의 워싱턴행은 단순한 기업 차원의 대응을 넘어선 '국가적 총력전'의 성격을 띤다. 한국에는 25%의 관세가 566억 달러 규모의 수입액에 적용될 예정이며, 이는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과연 재계 총수들의 막판 승부수가 트럼프의 관세폭탄을 막아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54.47 ▲23.90
코스닥 803.67 ▼0.78
코스피200 439.81 ▲3.9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599,000 ▲175,000
비트코인캐시 784,500 ▼5,500
이더리움 5,21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9,280 ▼230
리플 4,261 ▼46
퀀텀 2,983 ▼3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500,000 ▲109,000
이더리움 5,210,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9,280 ▼220
메탈 1,047 ▼8
리스크 609 ▼7
리플 4,263 ▼42
에이다 1,049 ▼6
스팀 19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510,000 ▲40,000
비트코인캐시 785,500 ▼3,500
이더리움 5,210,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29,320 ▼200
리플 4,263 ▼42
퀀텀 3,020 0
이오타 27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