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2(금)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방미 경제사절단 합류한 까닭은

유일한 중견기업 수장…핵심 광물 공급망 다변화에 역할 할 듯

안재후 CP

2025-08-22 10:27:27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오는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동행하는 경제사절단에 합류한다. 특히 이번 경제사절단에서 고려아연은 대기업집단이 아닌 중견기업으로는 유일하게 포함돼 그 의미가 남다르다.

중견기업 유일 참여, 전략광물 중요성 부각

이번 방미 경제사절단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김동관 한화 회장 등 주요 대기업집단 수장들이 대거 참여한다. 이들 모두 우리 주력산업을 이끄는 대기업집단 수장들인 가운데, 최윤범 회장의 고려아연은 유일하게 중견기업으로서 명단에 포함됐다.

이는 미국 정부가 핵심광물 공급망의 '탈중국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고려아연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고려아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안티모니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지난 6월 안티모니 20톤을 미국에 처음 수출하는 등 전략광물 분야에서 한미 경제안보 협력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안티모니 미국 수출로 탈중국 공급망 기여

안티모니는 반도체와 방산 등에서 핵심 소재로 쓰이는 희귀금속으로, 국가자원안보특별법에서 정한 핵심 광물 중 하나다. 특히 철갑 저격탄 제조용 합금, 항공우주 분야 솔더(땜납) 합금, 잠수함용 밸러스트 제조용 합금 등 방산 물자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조 등에도 사용된다.

중국이 지난해 9월 안티모니 수출 통제에 나서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고려아연은 순도 99.95%의 고순도 안티모니를 생산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1분기 고려아연의 안티모니 판매량은 971톤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으며, 매출액도 5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5배 증가했다.

고려아연은 올해 미국으로 100톤 수준의 안티모니를 수출하고, 내년에는 월 20톤 규모로 연간 240톤 이상 수출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미국이 지난해 전체 안티모니 수입량 중 60% 이상을 중국에서 수입할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매우 의미 있는 변화다.

해저광물 개발 투자로 미국 진출 확대

최윤범 회장은 전략광물 확보를 위한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지난 6월 미국 나스닥 상장사 TMC(The Metals Company) 지분 5%를 8500만 달러(약 1165억원)에 인수했다. TMC는 심해에서 니켈과 코발트, 동(구리), 망간 등을 함유한 망간단괴 채광을 준비 중인 회사다.
TMC가 추진하는 해저광물 프로젝트의 총 가치는 236억 달러(33조원)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으며, 고려아연은 향후 TMC가 채취한 자원을 국내외에서 제련하는 등 사업적 연계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자원 독점화를 저지하고 자원 안보를 강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TMC는 연내에 채광 허가를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어, 고려아연의 투자가 한미 자원안보 협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 경제안보 협력의 새로운 축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고려아연의 역할이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기업 규모를 넘어서는 전략적 가치 때문이다. 고려아연은 이번 대미 수출을 통해 미국의 탈중국 자원 공급망 구축에 힘을 싣는 한편, 이를 통해 새 정부의 경제 외교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미국이 중국의 자원 무기화에 대응하여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는 상황에서, 고려아연은 단순한 수출업체가 아닌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갖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인정받고 있다. 고려아연은 최근 안티모니와 인듐 등 핵심 전략광물의 대미 수출량을 확대하며 한미 간 공급망 협력과 글로벌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최윤범 회장의 이번 방미는 고려아연이 단순한 중견기업을 넘어 한미 경제안보 협력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앞으로 고려아연이 어떤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할지, 그리고 이것이 한미 양국의 자원안보 협력에 어떤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2.60 ▲20.86
코스닥 780.25 ▲3.01
코스피200 427.58 ▲3.1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73,000 ▼426,000
비트코인캐시 784,500 ▼1,000
이더리움 6,006,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9,340 ▼240
리플 3,984 ▼18
퀀텀 3,104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86,000 ▼394,000
이더리움 6,00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9,360 ▼210
메탈 997 ▼6
리스크 530 ▼2
리플 3,985 ▼17
에이다 1,198 ▼7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290,000 ▼420,000
비트코인캐시 785,500 ▼1,000
이더리움 6,005,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9,320 ▼250
리플 3,984 ▼15
퀀텀 3,100 ▼14
이오타 27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