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1(목)

옵티코어, AI 데이터센터 '골드러시'의 숨은 수혜주 부상

800Gbps 광트랜시버 국내 유일 개발사... 협동로봇 M&A로 사업 영역 확장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11 09:44:51

옵티코어, AI 데이터센터 '골드러시'의 숨은 수혜주 부상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생성형 AI 열풍과 함께 데이터센터용 광통신 모듈 시장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가운데 광트랜시버 전문업체 옵티코어가 AI 데이터센터 핵심 부품 공급사로서 주목받고 있다.

옵티코어는 광신호와 전기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광트랜시버와 다양한 파장의 광신호를 단일 광섬유로 송수신할 수 있게 돕는 광다중화장치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2022년 SPAC 합병을 통해 상장한 이후 자체 개발한 광원 기술을 바탕으로 5G 통신망용 25Gbps급 광트랜시버 시장을 선도해왔다.

AI 데이터센터의 폭발적 성장이 옵티코어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 생성형 AI 보급으로 데이터센터의 규모와 처리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고성능 광트랜시버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AI 백엔드 네트워크 시장은 향후 3년 내 2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구리 통신망에서 광통신망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현재 AI 데이터센터에서는 800Gbps급 광트랜시버가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향후 1~2년 내에는 1.6Tbps 제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옵티코어는 800Gbps 제품의 경우 사실상 국내 유일한 개발 및 생산 업체라는 점에서 확실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나승두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옵티코어는 고성능 광트랜시버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데이터센터 성장의 최대 수혜 기업이 될 것"이라며 "400Gbps 제품은 사용 전력 절감 기술로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량 절감에 도움이 되고, 800Gbps의 경우 국내 유일 개발 및 생산 업체라는 점에서 확실한 경쟁 우위에 있다"고 평가했다.

옵티코어의 사업 영역 확장 시도도 주목할 만하다. 지난 9일 AI 로봇 통합 플랫폼 기업 리드앤 인수를 발표하며 협동로봇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리드앤은 서비스 및 협동로봇 SI 전문업체로, 일반 서비스부터 물류까지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제조 및 운영하고 있다.

옵티코어가 보유한 광통신 모듈 기술과 리드앤의 협동로봇 솔루션이 결합하면 자동화에 필요한 협동로봇 생태계를 5G 특화망을 활용해 빠르고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이를 통해 광통신 모듈 산업의 전방 산업 투자 사이클에 따른 변동성을 줄이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회사의 재무 상황을 보면 최근 몇 년간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4년 매출액은 233억원으로 전년 대비 11.5%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65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본격적인 성장과 함께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옵티코어의 주요 제품별 매출 비중을 보면 광트랜시버가 42.4%로 가장 크고, 기타(39.0%), 광다중화장치(12.8%), 자동화 사업(5.8%) 순이다. 현재 개발 중인 800Gbps 광트랜시버가 본격 양산되면 매출 구조에도 긍정적 변화가 예상된다.

글로벌 광트랜시버 시장은 2025년 140억 달러에서 2032년 320억 달러로 연평균 12.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400Gbps에서 800Gbps, 1.6Tbps로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어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들에게는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나 애널리스트는 "그동안 광통신 모듈 관련 산업은 전방 산업의 투자 사이클에 맞춰 변동성이 크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AI 보편화와 더불어 AI 데이터센터라는 성장성이 큰 시장이 열리는 초기 단계"라며 "협동로봇 등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가 등장하고 있어 빠른 외형 성장을 기대하기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31.41 ▲16.88
코스닥 834.88 ▲1.88
코스피200 452.61 ▲2.5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67,000 ▲189,000
비트코인캐시 806,500 ▲2,000
이더리움 6,111,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9,470 ▲100
리플 4,179 ▲12
퀀텀 3,614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91,000 ▲154,000
이더리움 6,108,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9,480 ▲90
메탈 1,006 ▲1
리스크 527 ▲1
리플 4,179 ▲17
에이다 1,240 ▲2
스팀 18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77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804,000 ▲500
이더리움 6,11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9,440 ▲90
리플 4,179 ▲13
퀀텀 3,646 ▲11
이오타 27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