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1(목)

삼성전기, AI 수혜주로 변신하며 목표주가 16% 상향

전 사업부 성장 모멘텀 확보...신한투자증권, "IT 서프라이즈 없어도 실적 성장" 전망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11 10:12:12

삼성전기, AI 수혜주로 변신하며 목표주가 16% 상향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전자부품 업계의 대표주자 삼성전기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수혜주로 새롭게 평가받으며 투자 매력도가 높아지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11일 삼성전기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19만원에서 22만원으로 16% 상향 조정했다.

삼성전기는 올해 상반기 섹터 전반의 실적 둔화에도 불구하고 사업별 체력을 입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회사는 2025년 매출액 11조 175억원(전년 대비 7% 증가), 영업이익 8,333억원(13% 증가)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IT 서프라이즈 수요 구간이 아님에도 실적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하반기 실적 전망은 더욱 밝다. 신한투자증권은 2025년 하반기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대비 9% 상향 조정했다. 전 사업부에서 중장기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컴포넌트 사업부는 가장 강력한 성장 동력을 보여주고 있다. 하반기 평균 가동률이 기존 추정치 85%에서 90%로 상향 조정됐다. 2024년 대비 설비 투자를 확대했음에도 높은 가동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에서 수요 회복세가 뚜렷하다. 산업용 매출 비중도 2024년 18%에서 2025년 20%로, 전장 비중은 약 29%로 4%포인트 증가할 전망이다.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로 가격과 수량이 동반 상승하는 구간으로 평가된다.
광학솔루션 사업부는 2025년 매출액이 3%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중장기 성장 기반은 탄탄하다. 주요 고객사 플래그십 라인업 내 입지가 확대되고 있으며, 전방 시장 확대에 따른 성장 동력이 부각되고 있다. 2026년부터는 반등이 예상되며, 스마트폰 수요 바닥 확인 구간에서 추정치 대비 상향 여지도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는 2025년 매출액 9% 증가를 기록할 전망이다. 서버와 네트워크용 공급 확대로 FC-BGA 매출 비중이 51%로 4%포인트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 확대 속에서 ASIC(주문형 반도체) 제품 수요가 기대되며, 글로벌 고객사 확대도 주목할 포인트다.

오강호 신한투자증권 연구위원은 "과거 IT디바이스 수요에 따른 실적 및 밸류에이션 적용 업체에서 빅테크 수혜 및 동반 성장 업체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며 "섹터 내 최선호주를 유지한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 상향의 배경에는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Target P/B(주가순자산비율)를 과거 3개년(실적 성장 구간) 평균인 1.8배를 적용했으며, BPS 기준을 2025년에서 2026년으로 변경했다. 이는 삼성전기가 단순한 IT 부품업체에서 AI 시대의 핵심 수혜주로 재평가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국내 MLCC(적층세라믹커패시터) 수출액은 2025년 1월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8개월 누적 기준 전년 동기 대비 7% 성장했다. 이는 글로벌 전자산업의 회복세와 AI 관련 수요 증가를 반영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ESG 측면에서도 삼성전기는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모든 영역에서 A+ 등급을 획득했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더 나은 지구와 삶'이라는 ESG 미션을 바탕으로 2050년까지 전 사업장 폐기물 매립제로 인증 및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기의 주가는 올해 들어 47.5%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AI 시대 수혜주로서의 재평가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29.13 ▲14.60
코스닥 834.42 ▲1.42
코스피200 452.13 ▲2.0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51,000 ▲531,000
비트코인캐시 817,500 ▲12,500
이더리움 6,132,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29,660 ▲160
리플 4,180 ▲16
퀀텀 3,623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122,000 ▲547,000
이더리움 6,129,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9,630 ▲140
메탈 1,006 ▲2
리스크 526 ▲1
리플 4,178 ▲15
에이다 1,240 ▲3
스팀 18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10,000 ▲400,000
비트코인캐시 817,000 ▲13,000
이더리움 6,130,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9,700 ▲190
리플 4,180 ▲18
퀀텀 3,646 0
이오타 27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