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은행은 3일부터 서울 용산구 소재 숙명여자대학교지점에서 'AI 몰리창구'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는 신한은행의 'AI 브랜치' 핵심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확장 적용한 디지털 창구로, 은행의 대표 캐릭터 '몰리(MOLI)'를 AI 은행원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AI 몰리창구'는 무겁고 딱딱할 수 있는 은행 업무를 보다 친근하고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고객들은 익숙한 창구 형태의 공간에서 AI 캐릭터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 창구에서는 예금 신규·조회·이체, 통장·체크카드 재발급, 보안매체 재발급, 환전 등 총 66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거래증명서와 통장 등의 실물 증서도 현장에서 바로 수령이 가능하며, 체크카드와 보안매체(보안카드, OTP)도 즉시 발급받을 수 있어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다.
신한은행은 지난 9월부터 숙명여자대학교지점에 '신한 이지 체크인' 서비스를 먼저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AI 몰리창구' 시범 운영으로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한층 강화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AI 몰리창구는 고객이 익숙한 창구 환경에서 AI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신한은행만의 혁신 모델"이라며 "숙명여자대학교지점을 시작으로 고객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AI 기반 금융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의 이번 시도는 단순히 업무를 자동화하는 것을 넘어,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등 실질적인 편의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평가된다. 시범 운영 결과에 따라 향후 다른 영업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