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07(금)

신한은행, AI 은행원 '몰리'가 66개 업무 처리하는 창구 오픈

숙대지점서 시범 운영...통장·카드 재발급부터 환전까지 원스톱 서비스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03 14:11:09

신한은행, AI 은행원 '몰리'가 66개 업무 처리하는 창구 오픈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디지털 창구를 선보이며 금융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신한은행은 3일부터 서울 용산구 소재 숙명여자대학교지점에서 'AI 몰리창구'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는 신한은행의 'AI 브랜치' 핵심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확장 적용한 디지털 창구로, 은행의 대표 캐릭터 '몰리(MOLI)'를 AI 은행원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AI 몰리창구'는 무겁고 딱딱할 수 있는 은행 업무를 보다 친근하고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고객들은 익숙한 창구 형태의 공간에서 AI 캐릭터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어,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 창구에서는 예금 신규·조회·이체, 통장·체크카드 재발급, 보안매체 재발급, 환전 등 총 66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거래증명서와 통장 등의 실물 증서도 현장에서 바로 수령이 가능하며, 체크카드와 보안매체(보안카드, OTP)도 즉시 발급받을 수 있어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하다.
특히 모바일 번호표 서비스인 '신한 이지 체크인(Easy Check-in)'과 연동된다는 점이 눈에 띈다. 고객은 영업점 방문 시 번호표를 발급받을 때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카카오톡 알림이나 문자메시지로 모바일 번호표를 받게 된다. 대기시간 동안 모바일 번호표를 통해 요청 업무 정보를 미리 입력할 수 있어, 창구 직원이나 AI 창구에서 사전에 업무를 파악해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9월부터 숙명여자대학교지점에 '신한 이지 체크인' 서비스를 먼저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AI 몰리창구' 시범 운영으로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한층 강화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AI 몰리창구는 고객이 익숙한 창구 환경에서 AI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신한은행만의 혁신 모델"이라며 "숙명여자대학교지점을 시작으로 고객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AI 기반 금융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의 이번 시도는 단순히 업무를 자동화하는 것을 넘어,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등 실질적인 편의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평가된다. 시범 운영 결과에 따라 향후 다른 영업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28.85 ▼97.60
코스닥 874.29 ▼23.88
코스피200 554.92 ▼13.4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640,000 ▲757,000
비트코인캐시 720,500 ▲3,000
이더리움 5,009,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2,760 ▼160
리플 3,334 ▲22
퀀텀 2,660 ▲2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752,000 ▲705,000
이더리움 5,01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2,760 ▼160
메탈 656 ▲5
리스크 286 ▲4
리플 3,333 ▲18
에이다 807 ▲7
스팀 11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780,000 ▲810,000
비트코인캐시 719,500 ▲2,500
이더리움 5,01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2,720 ▼220
리플 3,336 ▲21
퀀텀 2,650 ▲10
이오타 19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