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5.09(금)

대기업, 2년 반 동안 스타트업에 4.3조 투자...1위 네이버

황성수 CP

2023-09-12 10:43:12

대기업, 2년 반 동안 스타트업에 4.3조 투자...1위 네이버
국내 대기업들이 지난 2년 반 동안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스타트업에 4조원 이상 지분투자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법인 지분투자를 가장 많이 한 분야는 콘텐츠 및 엔터테인먼트였다. 기업수로는 제약·바이오 분야로 집계됐다.

1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상반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354개사의 타법인 출자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1년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계열사 투자를 제외한 타기업의 지분을 취득한 기업은 298개사로 조사됐다. 출자 금액은 취득가 기준 20조7701억원이었다.

이중 투자조합 등 간접투자가 전체의 78.6%인 16조3354억원, 기업 수는 2922개였다. 직접 지분을 취득한 곳은 843개 기업, 지분출자 금액은 4조3055억원으로 나타났다.

타법인 투자기업 수와 지분 출자액은 2021년 330개 기업·2조1225억원, 지난해에는 335개 기업·1조2976억원으로 감소했으나, 올 상반기까지 179개 기업·1조1042억원으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기업 출자를 받은 844개사를 업종별로 보면 가장 출자액이 큰 분야는 콘텐츠 및 엔터테인먼트였다.

2년 반 동안 대기업들은 이 분야 99개 기업에 1조1415억원을 출자했다.

이어 2차전지 분야 64개 기업에 1조416억원을, 우주·항공 분야 48개 기업에 4770억원을 투자했다.

또 제약·바이오 분야는 4370억원(173개사), 애플리케이션·플랫폼 서비스 2906억원(18개사), AI·빅데이터 2051억원(122개사) 등 순이었다.

2021년 이후 직접 타기업 지분출자를 가장 많이 한 기업은 네이버로, 63개 기업에 5978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타법인 지분출자를 많이 한 기업은 하이브였다. 하이브는 같은 기간 8개 기업에 4376억원을 출자했는데, 대부분 올해 경영권 분쟁을 한 SM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지분 출자였다.

이어 출자 금액 기준 LG화학(3737억원), SK텔레콤(2694억원), 현대자동차(1666억원), 크래프톤(1663억원), 삼성전자(1564억원), 현대모비스(1282억원), CJ ENM(1205억원) 등 순이었다.

황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77.27 ▼2.21
코스닥 722.52 ▼7.07
코스피200 341.49 ▲0.2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3,770,000 ▼1,451,000
비트코인캐시 589,500 ▼6,500
이더리움 3,250,000 ▼148,000
이더리움클래식 26,590 ▼740
리플 3,289 ▼78
이오스 1,190 ▼29
퀀텀 3,346 ▼1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3,648,000 ▼1,563,000
이더리움 3,244,000 ▼153,000
이더리움클래식 26,540 ▼790
메탈 1,220 ▼34
리스크 747 ▼14
리플 3,284 ▼85
에이다 1,088 ▼44
스팀 211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3,710,000 ▼1,420,000
비트코인캐시 588,500 ▼8,000
이더리움 3,252,000 ▼147,000
이더리움클래식 26,570 ▼730
리플 3,293 ▼71
퀀텀 3,381 ▼69
이오타 33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