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통신이 25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의 유가 상한선을 초과한 러시아산 원유가 유럽 선박에 의존해 운송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핀란드 싱크탱크 에너지·청정공기 연구센터(CREA)에 따르면 러시아 원유의 약 3분의 2가 G7과 그 동맹국 등 유가 상한선을 부과한 국가의 소유이거나 해당 국가에서 보험에 가입한 선박에 의해 운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전히 러시아 정부가 여전히 유럽 해운 산업을 크게 이용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CREA는 분석했다.
아울러 EU는 해상을 통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조처를 취해, 러시아는 원유를 판매할 대체 시장으로 아시아 국가들을 모색해왔다.
그러나 러시아가 제재를 부과한 국가들 밖의 관할권에서 러시아 원유를 실어 나르는 이른바 '그림자 선단'을 운영하면서 상한제의 효과가 약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림자 선단은 국제 제재 대상국인 러시아 등과 주로 거래하는 유조선을 말한다.
앞서 러시아의 원유 공급량이 서방의 제재에도 올봄에 50%나 증가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에 따라 EU, G7, 호주가 지난해 말 도입한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유가 상한제의 실효성이 의문시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