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훈 대표변리사는 “고객사에 변리사의 기본 업무인 지식재산권 법률서비스를 제공해줄 뿐 만 아니라, 특허를 활용해 창조적인 비즈니스에 성공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다. 특히 우수한 특허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도약하는 스타트업의 활동에 많은 주목을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다양한 분야 중, 특히 스타트업에 주목하게 된 계기에 대해 홍성훈 변리사는 “대개 딥테크 스타트업의 경우 독자적인 기술을 앞세워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거나 또는 기존 시장에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로 진입하게 되는데, 만약 기술에 대한 특허포트폴리오, 즉 시장진입장벽을 적절히 구성하지 않는 경우, 쉽사리 경쟁자들에게 시장지배력을 뺏길 수 있다”고 말하며 “실제로, 스타트업을 단숨에 성장시킬 수 있는 좋은 아이디어라 할지라도 자금력이 떨어져 적시에 필요한 인적리소스를 충당하지 못하거나 시제품 제작과 생산설계 등을 진행하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호기롭게 시작한 스타트업의 아쉬운 말미가 매우 안타까웠다”고 밝혔다.
한편, 기업의 특허 포트폴리오 구성에 있어, 변리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실제적으로 그 과정 속에서 어떠한 역할을 구체적으로 하게 되는지에 대해 홍 변리사는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등에서 유의미한 특허 아이템을 도출하는 것이 우선이다. 특허전문 변리사로서, 업무를 이어나가다 보니 자연스럽게 특허를 이용한 성공적인 방어벽 구축 및 자금확보 전략에 특화된 케어에 집중하게 되었다. 저의 역할은 기업의 핵심기술을 지키는 한편, 기술평가등급이 높은 특허에 대한 권리화 전략을 제공하는 강력한 특허권을 바탕으로 기업이 시장지배력을 행사하고 적시에 필요자금이 들어올 수 있는 플랜을 수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홍 변리사는 “스타트업에겐 특히 기술력, 사업력, 소통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다. 중소중견 및 벤처기업은 성장을 위해 대표 및 경영진이 끊임없이 연구를 이어나가고 목표를 갈구해야한다. 사업력은 핵심 기술을 소비자 니즈에 맞추어 전략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하기에 기업에겐 필수 요소이며, 소통력은 조직 내부와 외부 인사들을 만날 때 자신의 입장보다는 상대방의 입장을 헤아려 소통할 수 있는 용기를 의미한다. 몇 가지 꼽은 항목들에 대해 열정이 있다면, 그 기업은 당연히 고속성장할 수 있다고 단언한다”고 덧붙였다.
홍성훈 대표 변리사는 LG전자, LG이노텍 특허전담 및 삼성전자 C-Lab 특허전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특허를 전담했으며, 현재 중기부 및 산자부, 경기도 R&D심사 평가위원을 맡고 있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