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12(화)

[간밤의 美친주식] Palantir, 올해 S&P 최대 상승주 … 상반기 80% 급등

CoreWeave, AI인프라 신흥 강자, 한주새 24% 급등 ... Intel, CEO 백악관 회담 후 주가 급등세

CP CP

2025-08-12 07:45:11

[글로벌에픽 CP] 1. Palantir Technologies = 올해 S&P 최대 상승주 … 상반기 80% 급등

2025년 상반기 동안 80.3%의상승률을 기록하며 S&P 500 지수 내 최고 성과를 올렸고, 올해 들어 약 150% 급등하며 2020년 상장이후 총 2,000%의 놀라운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성과는 단순한 주가 상승을 넘어 AI 혁명의 중심에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있음을 의미한다.

2분기 실적은 더욱 인상적이었다. 처음으로분기 매출 10억 달러를 돌파하며 48%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미국 상업 부문의 성장은 눈부셨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성 캠페인이 팔란티어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팔란티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부 비용 절감 정책에서 이익을 얻고 있으며, 정부 효율성부(DOGE)의 핵심 파트너가 될 가능성이 높다. AI 기반 플랫폼이비효율성 식별, 자원 배분 최적화, 비용 절감에 이상적으로적합하기 때문이다.
강력한 실적을 바탕으로 팔란티어는 2025년 전체 전망을 지속적으로상향 조정하고 있다. 회사는 2025년 총 매출을 38억9000만~39억달러로 예상하며, 미국 상업 부문 매출 성장률을 최소 68%로전망한다고 발표했다.

카프 CEO는 "회사역사상 가장 높은 분기별 순차 매출 성장률을 가이드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0% 성장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2. GE Vernova = 친환경 에너지 혁신에 급성장… 해상풍력 분야 모니터링 필요

GE Vernova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본사를 둔 에너지 장비제조 및 서비스 회사로, 전 세계 전력의 약 25%를 생산하는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 4월 2일, General Electric(GE)의 에너지 사업부가 독립기업으로 스핀오프되면서 에너지 산업에 새로운 강자가 등극했다. 이후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주목을 받고 있다. 2024년 142.85 달러에서 2025년 8월 현재 649.09 달러까지급등하며, 일 년 여 만에 100.7%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현재 27명의 애널리스트가 "매수" 평균 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며, 12개월 목표주가는 559.23달러로 설정되어 있다. 회사는 헤지펀드 111개사가 보유하고 있어 기관투자자들의 높은 신뢰를 받고 있다.
회사의 강력한 기술력, 글로벌 시장 지배력은 장기적으로 투자자들에게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해상풍력 부문의 어려움과 치열한 경쟁 환경은 지속적인모니터링이 필요한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있다.

3. Intel = CEO 백악관 회담 후 주가 급등세

립부 탄 인텔 CEO가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직후 3% 대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불과 일주일 전 트럼프대통령으로부터 "즉각 사임하라"는 강력한압박을 받았던 탄 CEO가 직접 백악관을 찾아 위기 상황을 돌파하려는 시도를 보인 것이다.

탄 CEO는 11일 백악관을방문해 자신의 개인적·직업적 배경을 설명하고 미국 국가안보에 대한 헌신을 강조하며, 인텔과 미국 정부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 후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 소셜에 “매우 흥미로운 회담이었다”며 “그의 성공과 성장은 놀라운 이야기”라고 평가했다. 또한 탄 CEO와내각이 다음 주에 함께 시간을 보내며 제안사항을 가져올 것이라고 밝혀 추가적인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다.

인텔 주가는 이날 3.5% 상승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긍정적인 발언이 나온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추가로 2.3% 더올랐다. 투자자들은 이번 회담을 탄 CEO가 사임 압박에서벗어나 인텔의 경영 정상화에 집중할 수 있는 전환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시장에서는 경쟁사인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에 판매하는 특정칩에서 발생하는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제공하기로 했다는 보도와 함께, 인텔이 이러한 제재에서 벗어나 미국 내 주요 반도체 제조업체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분석가들은 “탄 CEO는트럼프와 개인적인 관계를 구축하지 못했던 다른 기술 기업 CEO들과 달리 직접 백악관을 찾아 소통한것이 긍정적”이라며 “이번 회담이 인텔의 파운드리 사업 프로젝트재개와 정부 지원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4. Micron Technology = AI 붐 타고연일 급등세 지속

마이크론의 실적 호조는 특히 AI 데이터센터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증가에서 기인하고 있다. 메모리 전문업체 마이크론의주가는 지난 3개월간 58% 급등했으며, 2025년 4월 저점 이후 주가가 두 배로 상승하는 등 놀라운 성장세를기록했다.

AI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급증, 메모리 시장 회복, 미국 내 2000억 달러 규모의 제조 투자 등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HBM 시장의 성장 전망은 매우 밝은 상황이다. 시장조사업체 Yole Group은 HBM 시장 매출이 2025년에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전체 메모리시장 매출은 2025년 2000억 달러에서 2030년 3,020억 달러로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론의 최근 실적 발표는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2025 회계연도 2분기 매출은 80억 5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으며, 월가 예상치 79억 1000만 달러를 상회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마이크론이 최근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는 사실이다. 마이크론은지난 3월 채널 파트너들에게 "최근 시장 역학 상황에대응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한다"고 공지하고 모든 반도체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이는 다양한 사업부문에서 예측하지 못한 수요 증가와 AI 관련 제품포트폴리오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른 조치였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12개월 목표주가는 156.26달러로 현재 수준 대비 약 28% 상승 여력을 시사하고있다. 특히 마이크론의 밸류에이션이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현재 주가 120달러 수준에서 올해 예상 주당순이익 7.82달러 기준 15배의 주가수익비율로 거래되고 있어, 반도체 업종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로 분석된다.

5. CoreWeave = AI인프라 분야 신흥 강자 … 한주새 24% 급등

2025년 3월 28일 주당 40달러로 상장한 이후 놀라운 성장궤적을 그려왔다. 4월 21일 33.52달러까지하락했던 주가는 이후 극적인 반등을 시작해 6월 최고가 187달러에도달하며 약 36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현재 주가는 129.55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630억 달러에 달한다.

특히 8월 들어서도 강세를 지속하고 있는데, 지난주 24.4%의 급등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반영하고있다. 이는 AI 수요 증가와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이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GPU 컴퓨팅, CPU 컴퓨팅, 스토리지 서비스, 네트워킹 서비스, 관리형 서비스, 가상 및 베어메탈 서버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회사의 핵심 경쟁력은 AI 워크로드에 특화된 인프라를 제공한다는점에 있다.

회사는 원래 2017년 암호화폐 채굴 회사로 시작했지만, 2020년 AI 인프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매출 성장률이 990%에 달하며, 1,600만 달러에서 19억 달러로 급성장했다.

2025년 1분기 매출 9억 8,160만 달러(전년동기 대비 420% 증가), 조정 EBITDA 6억 610만 달러(전년동기 대비 480% 증가)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성장을 입증했다.

특히 259억 달러 규모의 매출 백로그를 확보하고 있어 향후 수년간의성장이 뒷받침되고 있다. 애널리스트들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06%로 매출이 16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AI 인프라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주가전망은 매우 긍정적이다. 시티그룹 애널리스트는 최근 중립에서 매수로 등급을 상향 조정하며 목표주가를 160달러로 설정했다.

하지만 투자 리스크도 존재한다. 회사는 아직 GAAP 기준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급속한 확장을 위해 상당한부채를 안고 있다. 또한 GPU를 담보로 한 자금 조달 모델과소수 대형 고객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된다.

8월 12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다만높은 밸류에이션과 사업 모델의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한 신중한 투자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글로벌에픽 CP /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9.91 ▼16.86
코스닥 807.19 ▼4.66
코스피200 431.63 ▼1.6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584,000 ▲209,000
비트코인캐시 815,500 0
이더리움 5,915,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30,480 ▲10
리플 4,317 ▼4
퀀텀 2,858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481,000 ▲282,000
이더리움 5,915,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30,460 ▼20
메탈 1,012 ▲4
리스크 575 ▼1
리플 4,314 ▼5
에이다 1,067 0
스팀 181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3,63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816,000 ▼2,000
이더리움 5,91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400 ▼50
리플 4,316 ▼3
퀀텀 2,883 0
이오타 27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