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7(수)

코스맥스, '글로벌 원 코스맥스' 전략으로 왕관 지키기

한국 법인 견조세에 중국·미국 턴어라운드 기대...K-뷰티 확산 수혜로 ODM 1위 지위 강화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17 13:36:48

코스맥스, '글로벌 원 코스맥스' 전략으로 왕관 지키기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글로벌 화장품 ODM(주문자개발생산) 1위 기업 코스맥스가 '글로벌 원 코스맥스' 전략을 통해 법인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며 지속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 내수 시장의 견조한 성장과 해외 부진 법인의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중장기 실적 개선에 대한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

코스맥스는 올해부터 추진 중인 '글로벌 원 코스맥스' 전략을 통해 법인 간 공동 영업과 생산 이관을 진행하며 고객사 대응력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 이 전략의 핵심은 전 세계 생산 거점을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운영해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특히 제품 믹스에서 기초 화장품 비중이 확대되면서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도 기대되고 있다. 기초 화장품은 색조 화장품 대비 마진율이 높아 전체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네시아와 태국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생산 능력(CAPA) 증설도 진행 중이며, 유럽 진출도 검토하고 있어 추가 성장 모멘텀은 충분한 상황이다.

한국 법인은 인바운드 확대로 H&B(Health & Beauty) 채널 중심의 인디브랜드 내수 수요가 견조하게 뒷받침되고 있다. 해외 지역 확대로 수출 호조까지 지속되면서 당분간 견조한 실적이 유지될 전망이다.
실제로 코스맥스의 내수, 간접수출, 직수출이 모두 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 전체 화장품 수출액 중 코스맥스의 기여도는 25% 내외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K-뷰티의 글로벌 확산과 함께 코스맥스가 그 중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부진했던 중국과 미국 법인의 하반기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 화장품 소비 회복은 예상보다 더딘 상황이지만, 상해 법인을 중심으로 대형 오프라인 고객사 주문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3, 4선 도시로 진출하는 로컬 브랜드사와 거래선을 구축하며 점진적인 매출 회복이 예상된다.

미국 법인도 지난해 영업을 시작한 서부사무소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하반기부터 신규 수주가 매출에 반영되며 영업적자 축소가 예상된다. 회사 측은 4분기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한솔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견조한 한국 법인과 미국·중국 법인의 턴어라운드, 중장기적으로 추가 지역 확대 및 제품 믹스 개선을 통해 견조한 실적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현재 주가는 12개월 선행 PER 18배로 업종 평균 수준이지만, K-뷰티 글로벌 침투율 확대 수혜 및 ODM 1위 업체의 지위를 감안하면 여전히 매력적인 밸류에이션"이라고 분석했다.

대신증권은 코스맥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BUY)'와 목표주가 30만원을 유지했다. 2025년 예상 매출액은 2조 45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3.2%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240억원으로 27.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업이익률도 9.1%로 개선되며 수익성 향상이 기대된다.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K-뷰티의 위상이 지속 확대되는 가운데, ODM 분야 절대 강자인 코스맥스의 성장 스토리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다. 특히 '글로벌 원 코스맥스' 전략을 통한 운영 효율성 개선과 해외 부진 법인의 턴어라운드가 맞물리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13.40 ▼36.22
코스닥 845.53 ▼6.31
코스피200 466.99 ▼5.8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07,000 ▼145,000
비트코인캐시 836,000 ▼500
이더리움 6,270,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8,370 0
리플 4,199 ▼6
퀀텀 3,356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73,000 ▼12,000
이더리움 6,27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8,390 ▲30
메탈 998 0
리스크 498 0
리플 4,201 ▼3
에이다 1,217 ▼1
스팀 18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46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836,500 0
이더리움 6,270,000 0
이더리움클래식 28,400 ▲20
리플 4,198 ▼5
퀀텀 3,356 ▼8
이오타 26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