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11(토)

[10일 마감] 코스피, 하루만에 3,600선 안착…AI 밸류체인이 주도

반도체·원전 강세에 1.73% 급등…외국인 1조원 넘게 순매수하며 상승 이끌어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10 17:10:42

[10일 마감] 코스피, 하루만에 3,600선 안착…AI 밸류체인이 주도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국내 증시가 AI(인공지능) 열풍을 타고 연휴 이후 급등세를 보이며 단숨에 3,600선을 돌파했다. 지난 목요일 3,500선을 넘어선 코스피가 불과 하루 만에 100포인트 가까이 치솟으며 연중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1.42포인트(1.73%) 오른 3,610.60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도 5.19포인트(0.61%) 상승한 859.49를 기록했다.

이날 증시 상승은 연휴 기간 미국 증시에서 형성된 AI 자신감이 국내로 전이된 결과다. AMD와 오픈AI 간 파트너십 체결 소식과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블랙웰 수요 강조 발언으로 AI 기술주에 대한 낙관론이 되살아났다. 미국 반도체 지수(SOX)가 이번 주 3.9% 급등하며 기술주 강세를 주도했고, 이는 국내 시장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국내에서는 반도체와 원전 등 AI 밸류체인 종목들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삼성전자는 6.1%, SK하이닉스는 8.2% 급등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창립 42주년을 맞아 주가 42만원을 돌파하며 시총 300조원 시대를 열었다. AI 전력 수요 증가로 원전주도 강세를 보여 두산에너빌리티가 15.0%, 비에이치아이가 12.3% 치솟았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에서 1조614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상승장을 적극 뒷받침했다. 코스닥에서도 2,387억원을 사들였다. 반면 개인은 코스피에서 5,018억원, 코스닥에서 1,316억원을 순매도했고, 기관도 각각 5,937억원과 832억원을 팔아치웠다.

하지만 AI 밸류체인을 제외한 업종은 한산한 모습이었다. 오히려 상승 종목수(917개)보다 하락 종목수(1,645개)가 더 많았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1단계 휴전 합의 승인 소식에 방산주가 급락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5.0%, 현대로템이 2.7% 하락했다.

자동차주와 은행주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현대차는 1.4%, 기아는 3.5% 떨어졌고, KB금융은 3.4%, 하나금융지주는 2.7% 내렸다.

일부 신흥 테마주들은 강세를 보였다. 중국의 희토류 및 관련 기술 수출 통제 강화 조치로 희토류주에 반사이익 기대감이 커지며 노바텍이 8.0% 상승했다. 로봇주도 피지컬AI 육성 기대감과 소프트뱅크의 스위스 ABB 로봇 사업부 인수 소식에 힘입어 로보티즈가 22.0%, 클로봇이 29.8% 급등했다.

반면 EU의 수입 철강 관세가 25%에서 50%로 상향 조정되면서 철강주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POSCO홀딩스가 3.7%, 현대제철이 2.0% 하락했다.

일본 자민당 총재 결선 투표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후보가 당선되며 이른바 '다카이치 트레이드'가 본격화됐다. 아베노믹스를 계승한 대규모 재정 지출 확대 정책에 대한 기대로 엔화 가치는 하락(달러당 153엔 돌파)했고, 일본 증시는 상승(닛케이 주간 +5.1%)했다.
원화도 국내 요인과 함께 엔화 약세에 동조되며 달러-원 환율이 5개월 만에 1,420원을 돌파했다. 대미 투자 협상 교착 등 국내 요소도 원화 약세를 부채질했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연휴 간 미국에서 경기 우려와 기술주 강세가 혼조된 가운데 AI 자신감이 시장을 지배했다"며 "AMD-오픈AI 파트너십 및 젠슨 황의 블랙웰 수요 강조에 AI 낙관론이 회복되며 국내 시장도 반도체 중심 상승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날 주요 테마 상승률을 보면 로봇이 6.5%로 가장 높았고, 원자력발전 5.7%, 희귀금속 5.0%, HBM 4.6%, IT 대표주 4.5% 순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향후 일정으로는 10일 오후 11시 미국 10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및 기대물가 지수, 13일 정오 중국 9월 수출입 통계가 발표된다. 국내에서는 13일부터 31일까지 국정감사가 진행되며, LG전자의 잠정 실적도 주목받을 전망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610.60 ▲61.39
코스닥 859.49 ▲5.24
코스피200 506.97 ▲13.56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4,093,000 ▼342,000
비트코인캐시 838,500 ▼6,000
이더리움 6,041,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7,550 ▼320
리플 4,019 ▼8
퀀텀 3,416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4,230,000 ▼174,000
이더리움 6,040,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7,520 ▼370
메탈 891 ▼2
리스크 400 0
리플 4,017 ▼9
에이다 1,153 ▼1
스팀 16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74,040,000 ▼370,000
비트코인캐시 838,500 ▼7,000
이더리움 6,04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7,450 ▼370
리플 4,020 ▼5
퀀텀 3,431 ▼4
이오타 25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