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14(화)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12.1조원 '깜짝 실적'...다시 보는 '삼전'

메모리 호황에 전분기 대비 156% 급증... DRAM 공급 부족 심화로 전망 밝아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14 10:27:18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12.1조원 '깜짝 실적'...다시 보는 '삼전'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삼성전자가 3분기 메모리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로 DRAM 공급 부족이 심화되면서 HBM 가격 협상에도 우호적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향후 실적 개선 전망이 더욱 밝아졌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14일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액 86조원(전분기 대비 15% 증가), 영업이익 12조1천억원(전분기 대비 156% 증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SK증권 전망치를 15%, 시장 컨센서스를 18% 상회하는 수치다.

사업부문별로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이 7조1천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이 중 메모리 반도체는 7조7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며, DRAM이 7조원, NAND가 7천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파운드리와 시스템LSI는 6천억원의 적자를 냈지만, 메모리 부문의 호조가 이를 상쇄하고도 남았다.

메모리 부문의 강세는 출하량과 가격 모두에서 비롯됐다. DRAM 출하량(Bit Growth)은 전분기 대비 13% 증가했고, 평균 판매가격(ASP)은 14% 상승했다. NAND는 출하량 7% 증가, 가격 4% 상승을 기록했다. 특히 HBM 판매량이 전분기 대비 33% 증가하며 회복세를 지속한 점이 주목된다.

모바일(MX) 및 네트워크 부문은 3조4천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갤럭시S25 시리즈의 호조가 지속되고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 비중이 증가하면서 두 자릿수 수익성을 유지했다. 스마트폰 출하량은 6,030만 대(전분기 대비 10% 증가), ASP는 306달러(전분기 대비 7% 상승)로 추정된다.

삼성디스플레이(SDC)는 1조2천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북미 스마트폰 효과로 평균 판매가격과 출하량이 모두 전분기 대비 상승했으며, 특히 출하량 증가가 더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한동희 SK증권 애널리스트는 "3분기 DRAM 출하 강세와 생산 증가 여력 제한은 재고의 재차 하락을 의미한다"며 "수급은 점점 타이트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AI 사이클 내 AI 서버뿐 아니라 일반 서버 투자 확장은 스케일아웃(Scale-out) 사이클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며 "일반 DRAM 공급 부족 심화는 HBM 가격 협상에도 공급자들에게 우호적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는 메모리 전망치 상향의 근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의 이번 실적은 AI 반도체 수요가 예상보다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AI 서버뿐 아니라 일반 서버 투자까지 확장되는 스케일아웃 사이클로 전환되면서 DRAM 전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문제는 공급이다. 메모리 업체들의 생산능력 증가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수요가 급증하면서 재고는 더욱 줄어들고 있다. 이는 가격 협상력을 공급자에게 유리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특히 AI 가속기용 고부가 메모리인 HBM의 경우, 일반 DRAM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가격 협상이 더욱 유리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는 HBM3E 12단 제품의 본격 공급과 함께 차세대 HBM4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AI 반도체 시장의 지속적 성장과 함께 메모리 부문의 호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파운드리 부문의 적자 지속은 여전히 숙제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수율 개선과 고객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561.81 ▼22.74
코스닥 847.96 ▼12.53
코스피200 496.89 ▼4.9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185,000 ▲104,000
비트코인캐시 782,500 ▼5,500
이더리움 6,057,000 ▼61,000
이더리움클래식 24,760 ▼410
리플 3,735 ▼35
퀀텀 3,017 ▼4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272,000 ▲24,000
이더리움 6,056,000 ▼6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50 ▼500
메탈 791 ▼20
리스크 360 ▼6
리플 3,729 ▼47
에이다 1,031 ▼15
스팀 147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9,25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784,000 ▼5,000
이더리움 6,060,000 ▼6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00 ▼480
리플 3,737 ▼39
퀀텀 3,012 ▼48
이오타 22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