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21(금)

삼성전자 SAIT 신임 원장 박홍근은 누구?

한국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교수 … 노벨상 후보급 과학자

안재후 CP

2025-11-21 10:46:11

삼성전자 SAIT 박홍근 신임 원장

삼성전자 SAIT 박홍근 신임 원장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삼성전자가 2026년 사장단 정기 인사를 통해 세계적 석학을 영입했다. 박홍근 하버드대 석좌교수가 SAIT(삼성종합기술원)의 신임 원장으로 선임된 것. 이는 이번 인사에서 유일한 외부 인재 영입이라는 점에서 삼성전자의 미래 기술 개발에 얼마나 큰 기대를 걸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2025년 1월 1일 입사를 앞두고 있는 박 원장은 누구일까.

하버드에서 25년 재직한 나노 기술 전문가

박홍근 신임 원장은 1999년부터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하며 화학, 물리, 전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25년 이상을 연구해 온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석학이다. 기초과학과 공학 전반에 걸친 연구를 주도해 온 그의 경력은 삼성전자가 원하는 '기술 인재'의 정의를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나노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성과 학제 간 경계를 넘어선 창의적 사고력으로 양자컴퓨팅, 뉴로모픽반도체 등 미래 디바이스 연구를 주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의 미래 신기술 연구와 AI 드리븐 컴퍼니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박 원장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서울대 수석졸업 후 4년만에 스탠퍼드 박사

박 원장의 학력과 경력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과 연구 성과를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다. 1967년생으로 서울대 화학과에 수석으로 입학한 후, 서울대 전체 수석으로 졸업했다. 그 후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단 4년 만에 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하며 비범한 능력을 입증했다.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경험을 쌓은 박 원장은 32세이던 1999년 하버드대 화학·물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는 세계 최고의 대학에서 인정한 그의 연구 역량을 보여준다. 더욱 놀라운 점은 그 이후의 승진 속도다. 2003년 부교수로 승진한 지 불과 1년 만에 종신교수(테뉴어) 자리를 획득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인 최초로 하버드대 종신교수가 되었다.

박 원장은 노벨상에 가장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연구 성과와 학문적 성취는 단순한 개인의 영광을 넘어 한국 과학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해 온 것이다.

삼성과 협력 경험, 뉴로모픽 반도체 연구 선도

박 원장과 삼성전자의 인연은 이번 인사보다 훨씬 이전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이미 삼성전자와 함께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인 뉴로모픽(Neuromorphic) 칩에 대한 미래 비전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다.
2023년 함돈희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펠로우 겸 하버드대 교수, 황성우 삼성SDS 사장,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과 함께 뉴로모픽 칩에 대한 논문을 공동 집필했으며, 이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게재되었다.

이 논문의 핵심 내용은 뇌 신경망에서 뉴런들의 전기 신호를 나노전극으로 초고감도로 측정해 뉴런 간의 연결 지도를 '복사'하고, 이를 메모리 반도체에 '붙여넣어' 뇌의 고유 기능을 재현하는 뉴로모픽 칩의 기술 비전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협력 경험은 박 원장이 SAIT 원장으로서 얼마나 적합한 인물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국내 조직으론 한계 … 최정상급 과학자 직접 초빙

박홍근 원장의 영입은 삼성전자의 기술 인재 정책에 있어 의미 있는 변화를 시사한다. 국내 조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판단 아래, 세계 최정상급의 과학자를 직접 초빙한 것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AI와 반도체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얼마나 진지한지를 보여주는 결정이다.

박 원장이 SAIT 원장으로서 나노 기술, 양자컴퓨팅, 뉴로모픽 반도체 등 미래 기술 분야를 주도한다면, 삼성전자의 연구개발 역량은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25년 이상 하버드대에서 축적한 그의 경험과 전문성이 한국 기업의 기술 혁신에 어떤 임팩트를 미칠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45.20 ▼159.65
코스닥 861.89 ▼30.05
코스피200 539.35 ▼24.8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7,698,000 ▼34,000
비트코인캐시 717,000 ▲1,500
이더리움 4,17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0,030 ▼170
리플 2,933 ▼30
퀀텀 2,360 ▼2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7,750,000 ▼22,000
이더리움 4,174,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0,070 ▼110
메탈 613 ▼3
리스크 281 ▼4
리플 2,930 ▼33
에이다 636 ▼6
스팀 10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7,690,000 ▲390,000
비트코인캐시 718,500 ▲1,500
이더리움 4,174,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0,050 ▼70
리플 2,930 ▼34
퀀텀 2,390 0
이오타 17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