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Z세대, 돈(11.4%)보다 성취감(27.1%)이 중요해
대학내일20대연구소에 따르면 3040 밀레니얼(28.5%)과 X세대(28.7%)의 경우 업무를 '생활에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비율이 비교적 높다. 반면 20대 초반인 Z세대 직장인은 업무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성취와 보람을 느끼는 것(27.1%)'을 가장 중요시한다. '새로운 지식을 알아가며 발전하고 성장(18.6%)'하고자 하는 욕구 또한 다른 세대보다 높게 나타나 업무를 자기 계발의 과정이자 성장과 성취를 느끼는 수단으로 여기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기성세대가 Z세대 후배에게 지금 하는 일이 개인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주 확인시켜줘야 하는 이유다.
◇ MZ세대 '야근 없는 정시 퇴근' 선호
◇ Z세대 직장인 5명 중 3명(67.1%), '회사 이득 보더라도 내가 손해면 NO'
M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일과 개인의 삶을 나누어 인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출근 시간에 관해서도 50대 이상 86세대(61.0%)는 '정해진 시간보다 일찍 출근해 업무 시작 준비를 해야 한다'는 비율이 높은 반면 밀레니얼 세대(66.2%)와 Z세대(62.9%) 대부분은 '정해진 시간에 늦지 않게만 출근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내가 손해일지라도 회사가 이득을 본다면 만족한다'는 질문에 86세대 절반 이상(54.6%)이 동의했지만 밀레니얼 세대(63.9%)와 Z세대(67.1%)는 '회사가 이득을 보더라도 내가 손해라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답했다.
차진희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