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빈곤율도 심각해 연금 기능 강화 등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7일 OECD 37개국의 고령화 속도와 빈곤율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2011~2020년 OECD 고령인구 연평균 증가율 / 사진제공=한경연
한경연은 최근 10년간 한국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연평균 4.4%씩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OECD 평균(2.6%)의 1.7배로 회원국 중 가장 빠른 속도다.
현재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15.7%로 OECD 29위다. 그러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20년 후인 2041년에는 33.4%로 치솟을 전망이다. 국민 3명 중 1명은 노인인 셈이다.
2048년에는 고령인구 비율이 37.4%까지 올라 OECD 회원국 중 가장 늙은 나라가 된다.
문제는 노인빈곤율이다. 2018년 한국 노인빈곤율은 43.4%로, OECD 평균(14.8%)의 3배에 달한다.
주요 5개국(G5)인 미국(23.1%), 일본(19.6%), 영국(14.9%), 독일(10.2%), 프랑스(4.1%)보다 높다.

OECD 노인빈곤율 / 사진제공=한경연
한경연은 고령화와 노인빈곤에 대비하기 위해선 사적연금 지원 강화, 노동시장 유연화, 고령층 민간일자리 수요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G5 국가는 사적연금 납임금 대비 세제 지원율도 높았다. 2018년 G5 국가의 평균은 29%였다. 특히 미국은 41%나 됐다.
또한 2명 중 1명은 사적연금에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한국의 경우 사적연금 세게 지원율과 사적연금 가입률이 각각 20%, 16.9%로 저조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고령화 속도가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빨라 연금기능 강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한국도 G5 국가들처럼 호봉급보다는 직무성과급으로 전환하는 등 유연한 노동시장 관린책으로 고령자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진희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