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 고용실태 분석·정책과제 발굴' 간담회에 참석한 김경선 여가부 차관 / 사진제공=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는 19일 오후 여가부 주최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제4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고 밝혔다.
2019년 기준으로 대학, 전문대학, 산업대학, 기술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에서 공학계열을 졸업한 남성의 취업률은 71.0%로 여성(65.5%)보다 5.5%P(포인트) 높았다. 이는 남녀 전체의 취업률 격차(3.8%P)보다 크다.
고등교육기관에서 공학 계열을 전공하는 비율도 남성(42.5%)이 여성(10.1%)보다 4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박수산나 IT여성기업인협회 경영지원부장은 "여학생의 이공계 지원과 여성 연구원의 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여성 리더는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경력단절 여성 과학기술인에게 교육과 경력 설계 등을 지원하고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의 여성 리더 역할을 제대로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정미 한국폴리텍대학 교수는 "첨단 정보기술(IT) 플랫폼의 등장, 새로운 산업 생태계에서의 노동환경 변화와 기업문화의 변화는 여성 고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고교 단계에서부터 성별에 따른 계열 선택의 차이를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차진희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