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17(월)

텔레노어IoT-옴디아, 'APAC 지역 IoT 메가트렌드 보고서' 발표

이수환 CP

2022-12-23 10:05:56

사진 - telenor lot 로고

사진 - telenor lot 로고

[글로벌에픽 이수환 기자] 글로벌 리서치기업인 ‘옴디아(OMDIA)’와 글로벌 커넥티비티 제공업체 ‘텔레노어IoT(Telenor IoT)’가 ‘아시아태평양 IoT 메가트렌드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IoT 기기는 스마트 워치, 프린터, 계량기, 스피커, 심지어 주방 가전 제품 및 자동차 등 인터넷에 무선으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물리적 개체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해 본 보고서는 특히 차량 관리 분야 등 자동차 분야의 디지털화 및 IoT도입을 동인하는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IoT가 어떻게 운송 및 물류 프로세스의 간소화를 지원하고 아태지역 에너지, 유틸리티 및 자원 기업의 증대되는 IoT 도입과 관련해 지속 가능성 의제와 연계되는지 다루고 있다.

APAC지역 기업의 디지털 전환 속도는 전 세계 다른 지역보다 더디게 진행해 왔다. 그러나 투자 증가와 함께 이 지역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여 IoT 도입에서 유례 없는 큰 성장을 보이고 그 어느 때와 다른 수준으로 IoT 규모를 확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옴디아(OMDIA) 조사에 따르면 APAC지역 기업의 20%가 향후 12개월 이내에 IoT 적용을 통해 500,000개 이상의 기기를 연결할 것이라고 한다. 또한 이 아시아태평양지역은 특히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및 태국 등의 국가에서 IoT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의 145 억 개의 IoT 장치가 2030년 389억 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이 IoT의 가속화를 고려하여 본 보고서는 기업이 IoT프로젝트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 국가 수준의 연결을 고려할 것, △ 입증된 통합 IoT 보안 솔루션을 찾을 것, △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하는 접근법을 구축할 것, △ IoT 통합의 복잡성에 대한 계획을 세울 것, 그리고 △ 적합한 파트너를 선택할 것을 꼽았다.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와 관련해, 세스 라이딩(Seth Ryding) 텔레노어 IoT 아시아(Telenor IoT Asia)의 최고 영업 책임자(CSO) 겸 대표는 “APAC지역 기업에게 IoT와 디지털화는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니며, 기술 하드웨어, 연결 및 소프트웨어가 디지털 미래의 중심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필수가 되었다”며 “APAC지역만큼 IoT 성장이 예상되는 다른 지역이 없기 때문에, 본 보고서에서 기술한 메가 트렌드는 커넥티비티(연결성)가 강화되는 미래에 기업들에게 소중한 가이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대도시의 인구 증가와 광범위하게 퍼져있는 외딴 지역등과의 연결의 필요성, 도시 이동성 및 에너지 수요의 증대, 정치적 환경 (IoT와 관련해 새로 도입/개편된 정책 또는 지침 등)과 같은 APAC시장의 고유한 도전 과제는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방식으로 이 지역의 IoT 시장을 변화시킬 것이다. 게다가 이 지역의 IoT 공급망은 분산되어 있어, 기업은 복잡성으로 인한 어려움과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를 맞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수환 글로벌에픽 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011.57 ▼159.06
코스닥 897.90 ▼20.47
코스피200 563.43 ▼25.2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263,000 ▲832,000
비트코인캐시 724,000 ▲10,500
이더리움 4,592,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2,090 ▲230
리플 3,301 ▲28
퀀텀 2,557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271,000 ▲777,000
이더리움 4,59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060 ▲130
메탈 634 ▲7
리스크 367 ▲2
리플 3,299 ▲22
에이다 720 ▲3
스팀 11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290,000 ▲800,000
비트코인캐시 723,000 ▲8,500
이더리움 4,59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2,070 ▲190
리플 3,303 ▲30
퀀텀 2,515 0
이오타 19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