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05(수)

한올바이오파마 ‘HL161’, 中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서 유효성 입증

자가면역질환 치료신약으로 2017년 중국에 기술수출…하버바이오메드·CSPC, 자국서 신약승인신청서 제출 계획

편집국 CP

2023-03-07 11:55:00

한올바이오파마의 중국 파트너사 ‘하버바이오메드’는 6일 자국 내 중증근무력증 환자를 대상으로 HL161(성분명: 바토클리맙)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톱라인 결과를 얻었다. [사진=한올바이오파마]

한올바이오파마의 중국 파트너사 ‘하버바이오메드’는 6일 자국 내 중증근무력증 환자를 대상으로 HL161(성분명: 바토클리맙)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톱라인 결과를 얻었다. [사진=한올바이오파마]

[글로벌에픽 편집국] 한올바이오파마는 중국 파트너사 ‘하버바이오메드(Harbour BioMed)’가 6일 자국 내 중증근무력증 환자를 대상으로 HL161(성분명: 바토클리맙)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임상 3상에서 긍정적인 톱라인(Top-line) 결과를 얻었다고 7일 밝혔다.

바토클리맙은 한올바이오파마가 지난 2017년 하버바이오메드에 기술수출한 항체신약으로, 중증근무력증(MG)을 비롯해 갑상선 안병증(TED), 혈소판 감소증(ITP), 시신경 척수염(NMO), 다발성 신경증(CIDP)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있다. 하버바이오메드는 지난해 10월 바토클리맙의 자국 내 사업권을 중국 CSPC 제약그룹에 서브라이선스한 바 있다.

이번 임상 3상은 중국 내 중증근무력증 환자 13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환자들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한 후 정해진 주기별로 증상 개선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했다. 각 주기에는 피하주사 바토클리맙 680mg 또는 위약을 주 1회, 6주간 투약하는 투약 기간과 4주간의 관찰 기간이 포함됐다.

한올바이오파마에 따르면, 임상 결과 바토클리맙은 1차 평가변수에서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또한 함께 측정된 주요 2차 평가변수들도 달성됐다. 이전 임상 2상과 일관된 안전성과 내약성을 보였으며, 새로 발견된 이상반응은 없었다.
이번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하버바이오메드와 CSPC 제약그룹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바토클리맙의 품목허가를 위한 신약승인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다.

정승원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는 “바토클리맙의 첫번째 임상 3상의 긍정적 결과가 나옴으로 인해 중증근무력증 환자와 더불어 다른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에게도 더 큰 희망을 줄 수 있게 돼 기쁘다”며 “하버바이오메드, CSPC 그룹과 지속적인 협업으로 중국 내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신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바토클리맙은 지난 2021년 발표된 중국 중증근무력증 임상 2상에서 안전성과 개선 효과를 인정받아 중국 NMPA로부터 ‘혁신치료제 지정’을 획득한 바 있다.

글로벌에픽 편집국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121.74 ▼100.13
코스닥 926.57 ▲12.02
코스피200 581.94 ▼17.0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67,000 ▲1,634,000
비트코인캐시 748,000 ▲16,000
이더리움 5,293,000 ▲109,000
이더리움클래식 22,360 ▲530
리플 3,440 ▲91
퀀텀 2,619 ▲4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24,000 ▲1,612,000
이더리움 5,285,000 ▲101,000
이더리움클래식 22,370 ▲570
메탈 612 ▲14
리스크 277 ▲5
리플 3,435 ▲91
에이다 818 ▲24
스팀 115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220,000 ▲1,620,000
비트코인캐시 748,500 ▲16,500
이더리움 5,290,000 ▲100,000
이더리움클래식 22,410 ▲570
리플 3,437 ▲82
퀀텀 2,603 ▲74
이오타 19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