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발주된 LNG 운반선은 총 44척으로, 이중 3분기는 10척에 그쳤다. 총 168척이 발주됐던 지난해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올해 발주된 LNG 운반선 중 한국의 조선 '빅3'인 HD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이 31척을 수주, 전체 수주점유율 70%를 차지했다. 나머지 물량은 중국 조선소에 돌아갔다.
HD한국조선해양이 가장 많은 20척의 건조계약을 체결했고,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은 각각 6척, 5척을 수주하며 뒤를 이었다.
우선 지난해 발주가 몰리면서 선주사들은 지금 당장 LNG 운반선을 계약해도 4년 뒤에나 인도받을 수 있다.
이마저도 조선소의 제한된 독(건조공간) 때문에 높은 가격에 발주해야만 계약을 체결할 수 있어 선주사들이 주저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의 해석이다.
실제 삼성중공업은 지난 6월 북미 지역 선사로부터 LNG 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고 공시하며 인도 예정 연도를 지금으로부터 5년 후인 2028년이라 밝힌 바 있다.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이 최근 수주한 LNG 운반선들도 납기연도가 모두 2027년이다.
올해 들어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선가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클락슨리서치 등에 따르면 17만4천㎥급 LNG 운반선 가격은 지난 2021년 10월 2억달러였지만, 2년 새 25% 넘게 오르면서 최근 HD한국조선해양은 역대 최고 금액인 2억6천500만달러(약 3천575억원)에 수주하기도 했다.
앞바다에서 대규모 천연가스전이 발견된 카타르의 국영 석유회사인 QP는 2020년 6월 한국 빅3와 100척이 넘는 LNG 운반선 건조 슬롯 계약을 체결해 지난해 말부터 발주를 이어가고 있는데 다, 지난달 27일 카타르페트롤리엄(QP)이 HD한국조선해양과 LNG 운반선 17척 건조(총 5조원 규모)에 대한 합의각서를 체결하는 등 남은 4분기에는 카타르 프로젝트에 따른 발주 증가가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성수 글로벌에픽기자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