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9(금)

공사비 26% 상승…'현장 마비될라' 대책 마련 나선 정부

이성수 CP

2024-02-09 11:22:22

(사진=연합)

(사진=연합)

이미지 확대보기
건설 자잿값이 뛰면서 공사비지수가 3년간 25.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비 인상으로 민간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에서 조합과 시공사 간 분쟁이 이어지는 것은 물론 공공 사업장에서도 차질을 빚자 정부는 건설사들이 적정 공사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에 나섰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집계하는 건설공사비지수는 지난해 12월 153.26(잠정치·2015년 100 기준)으로 1년 새 3.2% 상승했다.

건설공사비지수는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코로나 기간 시중 유동성이 증가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주요 건설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건설공사비 지수는 2021년 14.0%, 2022년 7.0% 상승했다.

2020년 말 121.80이던 지수는 3년 새 25.8%나 급등했다. 이 기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12.3%)보다 2배가량 높다.

건설용중간재물가지수는 2020년 12월 106.4에서 지난해 12월 144.2로 3년간 35.6%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보다 12.2%포인트 높은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멘트 등 자재 수급난이 반복되면서 공사비 부담은 더욱 커졌다.

공사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포틀랜드시멘트 가격은 2022년 23.6% 급등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9.1% 상승했고, 고로슬래그시멘트도 2022년 23.6%, 지난해 7.5% 올랐다.

레미콘 가격은 2021년 6.2%, 2022년 22.0%, 작년에는 6.9% 상승했다.
건설업 종사자 평균 임금도 상승세다. 2020년 4.7% 오른 뒤 2021년 3.9%로 상승 폭이 다소 낮아졌지만, 2022년 5.5%, 작년 6.7% 올랐다.

한국건설정책연구원은 올해 건설 수주, 건설 투자가 모두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안정적인 자재 수급이 전제돼야 주택공급 활성화 대책, 사회기반시설(SOC) 예산 증액 등 정부 정책이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토부는 발주 공공사업에서 물가 상승을 반영해 공사비 책정을 현실화하는 방안 등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이성수 글로벌에픽 기자 lss@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61.30 ▲47.90
코스닥 857.11 ▲11.58
코스피200 475.34 ▲8.3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756,000 ▼395,000
비트코인캐시 881,500 ▼3,000
이더리움 6,364,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9,200 ▼50
리플 4,294 ▼20
퀀텀 3,445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852,000 ▼323,000
이더리움 6,366,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200 ▼50
메탈 1,016 ▼1
리스크 518 ▼1
리플 4,295 ▼20
에이다 1,286 ▼7
스팀 19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750,000 ▼410,000
비트코인캐시 882,000 ▼2,000
이더리움 6,36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190 ▼100
리플 4,292 ▼18
퀀텀 3,451 ▲25
이오타 27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