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철 말라리아 예방 포스터
시는 지난 1일 경기도가 파주시에 올해 첫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한 이후 전국 첫 군집 사례가 확인된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 방제활동을 실시하는 한편, 지역사회 내 추가적인 확산 차단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
남북 접경지와 가까운 파주시는 말라리아 발생 위험이 상존하는 지역으로 매해 여름철마다 말라리아 예방을 위한 상시적인 감시‧방역체계가 가동되고, 말라리아 환자 발생 시에도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관내 다수 의료기관들에 대한 지원체계가 매우 잘 갖춰져 있는 편이다.
그럼에도 올해 첫 말라리아 군집 사례가 확인되고 경보가 발령된 상황인 만큼 파주시 방역 당국은 대응 수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려 확산 차단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파주시가 보유한 특수방역차량 4대를 총동원해 방역기동반을 운영하되, 이 중 1대는 환자 발생지에 집중적으로 투입해 파주 전역에 촘촘한 말라리아 방역망을 구축할 방침이다. 시의 계획에 따르면, 환자 발생지 방역반이 47개소의 방역을 담당하고, 그 외 방역반은 도심지 공원 129개소, 체육시설 11개소, 축사 235개소 등 총 420개소를 대상으로 풀숲이나 물웅덩이 구석구석까지 순회하며 잔류분무 방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그밖에 지역책임제 민간위탁반도 평시보다 3개 반을 추가 편성해 28개 반을 운영해 주민들 요구가 있는 곳은 당일 즉시 방제를 실시하는 등 신속대응체제를 가동 중이며 공원 산책로, 자전거 도로 등에 해충퇴치기 160대를 추가 설치해 모두 379대를 동시 운영 중이며, 기피제 분사기도 15대를 추가 설치해 총 40대를 운영해 공원을 수시로 오가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서도 만반의 대비를 갖추었다.
또한 시민들의 예방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감염병 예방 카카오톡 채널 등 누리소통망(SNS)을 활용해 예방법을 안내하고, 97개 아파트단지에 홍보 전단을 배부하는 등 예방 홍보를 강화했다.
아울러 환자 발생 시 조기진단 및 신속한 치료를 위해 「우리동네 말라리아 진단기관」 75개소를 지정·운영 중이며, 관내 의료기관에 발열자 방문 시 말라리아 신속 진단 검사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도록 협조를 요청해 둔 상태다.
이한상 파주보건소장은 “철저한 감염병 대응체계를 구축해 시민 건강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말라리아가 의심될 땐 망설이지 말고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방문해 검사를 받으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말라리아를 예방하는 최선의 방법은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예방법으로는 ▲야간 활동 자제 ▲야외 활동 시 밝은색의 긴 옷 착용 ▲기피제 및 살충제 사용 ▲방충망 및 방지시설 점검 ▲집 주변 모기 서식지 제거 등이 있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