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1(목)

하이트진로, 일본 프리미엄 위스키 '후지' 4종 신제품 출시

창립 100주년 하이트진로, 기린 고텐바 증류소의 '후지' 위스키 6종 라인업으로 프리미엄 시장 진출 가속화

신승윤 CP

2025-07-15 11:23:46

하이트진로, 일본 프리미엄 위스키 '후지' 4종 신제품 출시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국내 주류업계 1위 기업인 하이트진로가 일본산 프리미엄 위스키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기 위한 대규모 제품 확장에 나섰다. 하이트진로는 일본산 프리미엄 위스키 '후지(FUJI)' 시리즈 4종을 국내 최초로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출시로 회사는 지난해 도입한 2종과 함께 총 6종의 완성된 후지 위스키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세계 유일의 독특한 증류소에서 탄생한 명품 위스키

후지 시리즈를 생산하는 고텐바 증류소는 1973년 기린그룹이 설립했다. 후지산 숲 속에 위치해 오랜 시간 자연 정화 과정을 거친 지하 100m의 맑고 부드러운 물로 독보적인 개성을 완성했다. 이 증류소가 특별한 이유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단일 증류소에서 몰트 위스키(malt whisky, 보리맥아를 주재료로 사용)와 미국, 캐나다, 스코틀랜드 스타일의 그레인 위스키(grain whisky, 보리 외 곡물을 주재료로 사용)를 동시에 제조가 가능한 곳이다.

스코틀랜드의 유명 위스키 브랜드 '글렌피딕'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위스키 양조장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170만㎡ 규모의 부지에서 매년 1,200만 리터의 위스키를 생산한다. 해발 620m 후지산 산기슭에 위치한 증류소는 후지산의 눈이 녹아 생긴 약수와 기후마저도 위스키에 이상적인 환경이라 한다.
입문자부터 애호가까지,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는 4종 신제품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제품은 '후지 블렌디드(FUJI BLENDED)', '후지 싱글블렌디드(FUJI SINGLE BLENDED)', '후지 싱글그레인(FUJI SINGLE GRAIN)', '후지 싱글몰트 17년(FUJI SINGLE MALT 17YO)' 총 4종이다.

'후지 블렌디드'는 개성 있는 원액으로 유럽과 미국 시장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한정 에디션이다. 크리미한 무게감과 서양배류와 같은 과일향에 숙성된 붉은 과일의 달콤한 맛과 나무의 산뜻한 풍미가 특징이다.

'후지 싱글블렌디드'는 고텐바 증류소가 지향하는 블렌디드 위스키의 정석으로 입문자부터 애호가까지 만족하는 이상적인 데일리 위스키다. 복숭아, 살구, 오렌지 등의 향에 배 타르트, 하얀꽃의 꿀처럼 실키하고 섬세한 단맛과 달콤한 과일 풍미가 특징이다.

'후지 싱글그레인'은 세 가지 그레인 위스키가 어우러진 풍부한 과일향과 은은한 스파이시함이 조화를 이루는 제품이다. 라즈베리와 오렌지 마멀레이드, 파운드 케이크를 연상시키는 달콤한 향에 흰 포도, 오렌지 껍질, 라즈베리가 여러 겹으로 펼쳐져 부드럽고 약간의 단맛이 특징이다.

가장 주목받는 제품은 '후지 싱글몰트 17년'이다. 고텐바 증류소의 몰트 위스키를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섬세한 풍미와 깊이를 중시하는 위스키 애호가를 위한 제품으로 국내에는 57병 한정 수량만 판매된다. 서양배, 모과, 흰 꽃 등의 달콤한 향에 메이플, 흑설탕, 캬라멜의 고소한 단맛과 함께 복합적인 오크 풍미가 특징이다.
급성장하는 국내 위스키 시장, 하이트진로의 전략적 대응

국내 위스키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이볼 인기에 힘입어 2020년까지 감소하던 위스키 수입액은 2021년에 32.4%, 2022년에 52.2%나 증가했어요(관세청 기준). 국내 위스키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위스키는 과거 40대 이상 중년층 소비가 주를 이뤘지만 홈술 문화가 확산하면서 MZ세대로 소비층이 확대됐다.

주류 소비 시장에서의 변화가 특히 두드러진다. 맥주·소주·막걸리 같은 대중적인 주류에 치중됐던 소비는 소비자 기호가 다변화되면서 위스키, 와인 등 수입 주류로 수요가 분산되고 있다. 특히 믹솔로지(mixology)는 '섞다'라는 뜻의 '믹스(mix)'와 '기술'이라는 의미의 '테크놀로지(Technology)'가 결합된 용어로 다양한 종류의 주류나 음료를 섞어 마시는 문화를 말한다. 바로 이 믹솔로지 트렌드의 수혜를 요즘 가장 많이 받고 있는 주종이 '위스키'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부 변화의 조짐도 보인다. 관세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위스키류 수입액은 1억4317만달러(약 1900억원)로 10.2%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데킬라 수입액은 345만7000달러로 2020년 254만1000달러 대비 155.9% 늘었다. 이는 20~30대 주 소비층의 취향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위스키 시장의 성장과 프리미엄화 트렌드

세계 위스키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위스키 시장 규모는 2024년 727억 달러를 넘어섰고, 프리미엄 및 수제 위스키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약 6.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스키 시장은 풍부한 유산과 다양한 제품이 특징 인 글로벌 음료 산업의 역동적 인 부분을 나타낸다. 최근 몇 년 동안 프리미엄 및 슈퍼 프리미엄 위스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 선호도를 변화시켜 풍미 프로파일과 포장의 혁신을 주도했다. 단일 맥아 스카치 위스키 음료의 소비는 소비자의 풍요롭고 호화로운 삶과 관련이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협회는 시장 성장의 핵심 동인이다.

한일 위스키 교역의 활성화

한편, 한일 양국 간 위스키 교역도 활발해지고 있다. 한·일 양국의 위스키 교역은 양방향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의 일본 위스키 수입도 큰 폭으로 늘어나, 2023년에는 수입량이 전년 대비 69% 증가한 897톤을, 수입액은 93% 증가한 798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산토리의 히비키, 야마자키, 카쿠빈 등이 한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역방향으로도 흥미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한국의 수제 위스키가 일본 시장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한국 최초의 싱글몰트 위스키 브랜드가 일본 대형 무역그룹 이토추를 통해 본격적인 유통망을 확보하게 된 점이다.

하이트진로의 미래 전략과 시장 전망

유태영 하이트진로 상무는 "이번 후지 위스키 4종의 출시는 일본 프리미엄 위스키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고 고텐바 증류소의 기술력을 소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다양한 라인업을 통해 위스키 입문자부터 애호가까지 폭넓게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기존 제품인 후지산로쿠는 이마트 트레이더스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신규 출시 제품들은 전국 주요 위스키바를 중심으로 유통될 예정이다. 이는 프리미엄 위스키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 채널 중심의 유통 전략으로 해석된다.

하이트진로의 이번 후지 위스키 라인업 확대는 단순한 제품 출시를 넘어서 국내 프리미엄 위스키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평가된다. 특히 일본 산토리의 히비키, 야마자키, 하쿠슈 등 기존 인기 브랜드들과 차별화된 개성 있는 제품으로 시장에서의 독자적 입지 구축을 노리고 있다.

창립 100주년을 맞은 하이트진로가 전통적인 소주·맥주 사업에서 벗어나 프리미엄 수입주류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대한 적극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향후 이러한 움직임이 국내 위스키 시장의 다양성 증진과 소비자 선택권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3.19 ▲33.10
코스닥 782.90 ▲5.29
코스피200 427.73 ▲4.07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35,000 ▲226,000
비트코인캐시 783,000 ▲500
이더리움 6,011,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40 ▲100
리플 4,096 ▲20
퀀텀 3,217 ▼8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27,000 ▲227,000
이더리움 6,011,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30 ▲70
메탈 1,030 ▲6
리스크 541 ▲1
리플 4,093 ▲19
에이다 1,234 ▲17
스팀 18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0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783,500 ▲2,000
이더리움 6,010,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30,060 ▲130
리플 4,098 ▲24
퀀텀 3,260 ▼73
이오타 27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