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자산운용(대표이사 김태우)은 22일 '1Q 미국메디컬 AI ETF(종목코드: 0083S0)'를 신규 상장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상품은 템퍼스AI, 리커전 파마슈티컬스, 인튜이티브 서지컬 등 미국 메디컬AI 대표 기업에 투자한다.
메디컬AI 산업은 최근 급속도로 주목받고 있는 분야다. 구글 알파폴드2가 AI 기술로 단백질 구조 예측에 성공해 202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하면서 신약 개발과 단백질 기능 연구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젠슨 황의 엔비디아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들도 메디컬AI를 'Next Amazing Revolution'의 핵심 영역으로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레지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메디컬AI 시장 규모는 2024년 267억 달러에서 2033년 6,138억 달러로 약 23배 성장할 전망이다. 정밀의료(진단), AI 신약개발, 로봇수술을 중심으로 연평균 37%의 폭발적 성장이 예상된다.
주요 편입 기업으로는 'AI 기반 정밀의료 플랫폼 기업'으로 불리는 템퍼스AI에 약 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두었다. 엔비디아가 지분 투자한 AI 신약 개발 선두주자 리커전 파마슈티컬스에 15%, 수술용 로봇 전문 기업 인튜이티브 서지컬에 10%를 투자한다.
이들 기업은 국내 투자자들에게도 친숙한 종목들이다. 템퍼스AI와 리커전 파마슈티컬스는 2025년 상반기 국내 해외주식 투자자 순매수 랭킹에서 각각 5위와 10위를 기록했다. 특히 템퍼스AI는 팔란티어, 애플, 코인베이스, AMD보다 많은 투자금이 몰린 '서학개미' 인기 종목이다.
이 외에도 구글, 노바티스, 엔비디아, 아스트라제네카 등 메디컬AI 관련 기술을 보유하거나 협업하는 기업들도 포트폴리오에 포함된다.
하나자산운용은 올해 들어 ETF 상품 라인업을 적극 확충하고 있다. ▲1Q 미국배당TOP30 ▲1Q 미국S&P500 ▲1Q 미국나스닥100 ▲1Q 미국S&P500미국채혼합50액티브 등을 잇달아 상장했다. 이 중 미국 대표지수 2종(1Q 미국S&P500, 1Q 미국나스닥100)은 최저 수준의 보수와 낮은 주당가격으로 개인 및 연금투자자들의 매수에 힘입어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했다.
김태우 대표는 "상반기에는 S&P500, 나스닥100 등 연금투자에 필수적인 라인업을 채웠으며, 하반기부터는 하나자산운용의 리서치 역량을 기반으로 1Q ETF만의 차별화된 ETF를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AI는 거부할 수 없는 큰 시대의 흐름으로 전 영역에 걸쳐 기존 산업과 우리 삶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며 "이번 메디컬AI와 같이 AI와 결합하여 구조적인 장기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에 투자하는 혁신 ETF를 지속 상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세계 최초 메디컬AI ETF 출시는 국내 자산운용업계가 글로벌 혁신 트렌드를 선도적으로 포착하고 상품화하는 역량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자세한 내용은 1Q ETF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