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1(목)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 "저출산·고령화 해결"에 앞장서

'출산장려금 1억 원'·'노인 연령 75세 상향' 눈길

안재후 CP

2025-07-25 15:52:57

2024년 그룹 시무식에서 이중근 회장과 출산장려금 수혜 직원 70명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년 그룹 시무식에서 이중근 회장과 출산장려금 수혜 직원 70명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국내 최대 민간임대주택 기업인 부영그룹은 이중근 회장의 ‘집의 목적은 소유가 아닌 거주에 있다’는 신념에 따라 임대 아파트 공급에 힘쓰며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사다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육, 역사, 보훈, 장학·기부금 전달 등 국가와 분야를 넘나드는 폭넓은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는 기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출산장려금 1억 원 지급’부터 ‘노인 연령 75세 상향 조정 제안’에 이르기까지 한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인 저출생·고령화 해결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 사회 전반에 큰 이슈가 됐던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1억 원’이라는 파격적인 출산장려책은 “현재 대한민국의 저출생 문제가 지속된다면 20년 후 국가안전 보장과 질서 유지를 위한 국방 인력 절대 부족 등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게 될 수 있다”는 심각성에 이 회장의 강력한 의지로 시행했다. 이후 타 기업에서도 출산 지원 제도를 발표하면서 부영그룹의 출산장려금 제도가 나비효과를 불러일으킨 마중물 역할을 했다.

이 회장은 저출생 해결 외에도 우리 사회의 또 다른 주요 문제 중 하나인 고령화 해결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 19대 대한노인회 회장에 당선되며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대한민국의 고령화 문제 해결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10월, 대한노인회 중앙회장 취임식 당시 취임사를 통해 △노인 연령 상향 조정, △재가 임종제도 추진, △인구부 신설 등을 제시했다. 특히 노인 문제를 ‘먼 산의 눈덩이’에 비유하며 조속한 노인 문제 해결을 위해 노인 연령을 75세로 연간 1년씩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자고 제안했으며, 이 회장의 제안을 시작으로 정치권에서 노인 연령 상향에 대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최근에는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에 대한 감사와 후대에 이어질 시대정신을 강조하며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유엔군은 낯선 땅에서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고, 그 희생 위에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 대한민국이 존재하게 됐다”며 유엔데이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어 “유엔데이를 기념한다면 전쟁에 참여한 60개국(16개국 전투지원, 6개국 의료지원, 38개국 물자지원)과 외교적 관계 개선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유엔데이는 국제 평화와 안전을 목표로 국제연합(UN)이 창설·발족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국제연합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50년부터 1975년까지 공휴일로 지정되어 기념하였으나 북한이 1975년까지 유엔 산하의 여러 기구에 공식적으로 가입하게 되자 이에 대한 항의 표시로 1976년 공휴일을 폐지한 바 있다.

또한, 역사서『6·25전쟁 1129일』을 비롯한 총 5권의 역사서를 집필했다. 특히 『6·25전쟁 1129일』은 주관적인 해석을 배제하고 사실 그대로를 일자별로 기록하는 ‘우정체 방식’으로 저술하여 국내외 기관과 해외 참전국에 1천만 부 이상 무상 기증됐다.

이처럼 부영그룹은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비롯해 국내외 여러 분야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며 지금까지 1조 2천억 원이 넘는 금액을 기부하는 등 모범적인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이중근 회장 개인적으로도 사회에 2,660억 원이라는 거액을 기부하며 노블리스 오블리주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글로벌에픽 안재후 CP / anjaehoo@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0.09 ▼21.47
코스닥 777.61 ▼10.35
코스피200 423.66 ▼2.5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93,000 ▲946,000
비트코인캐시 773,000 ▲9,000
이더리움 5,950,000 ▲173,000
이더리움클래식 29,480 ▲660
리플 4,067 ▲101
퀀텀 2,918 ▲5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999,000 ▲1,102,000
이더리움 5,952,000 ▲173,000
이더리움클래식 29,470 ▲650
메탈 1,008 ▲21
리스크 538 ▲13
리플 4,068 ▲103
에이다 1,227 ▲47
스팀 18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880,000 ▲870,000
비트코인캐시 773,500 ▲10,000
이더리움 5,945,000 ▲165,000
이더리움클래식 29,530 ▲750
리플 4,067 ▲100
퀀텀 2,911 ▲31
이오타 26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