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1(목)

코스맥스, '소셜아이어워드 2025' 인스타그램 부문 최고대상 수상...B2B 기업의 SNS 혁신 성공 사례로 주목

글로벌 화장품 ODM 기업 코스맥스, 진정성 있는 소통으로 소셜미디어 최고상 획득...팔로워 5배 증가

신승윤 CP

2025-07-28 14:10:09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업계 선두주자인 코스맥스가 디지털 마케팅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성과를 인정받았다. 코스맥스는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가 주최하는 '소셜아이어워드 2025'에서 인스타그램 부문 최고대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발표했다. 이는 B2B 기업이 어떻게 MZ세대와의 소통 방식을 혁신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최고 권위 소셜미디어 시상식에서의 쾌거

소셜아이어워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KIPFA)가 주최하고 아이어워즈위원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소셜미디어 시상식이다. 올해로 21회를 맞는 이 시상식은 기업 혹은 단체가 운영 중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미디어를 대상으로 가장 우수한 서비스를 선정하는 행사다.

총 4천여 명의 인터넷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단이 온라인 및 프레젠테이션 평가 등 까다로운 심사 절차를 거쳐 수상자를 선정한다. 올해는 총 6개 플랫폼 9개 부문에 걸쳐 273개 업체 및 335개의 소셜인터넷서비스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코스맥스는 이러한 치열한 경쟁에서 인스타그램 부문 최고대상을 차지하며, 최고대상 수상 기업 중 유일한 자체 제작 채널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는 외부 전문 에이전시의 도움 없이 내부 역량만으로 최고 수준의 SNS 마케팅을 구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출 2조원 돌파 기업의 디지털 혁신 전략

코스맥스의 SNS 성공은 기업의 전반적인 성장세와 맞물려 더욱 의미가 크다. 코스맥스는 2024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21.9% 증가한 2조 1,661억원을 기록하며 연간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754억원, 당기순이익은 884억원으로 각각 51.6%, 133.9% 성장했다.

이러한 급성장의 배경에는 K뷰티 인디브랜드의 글로벌 확산과 동남아시아 등 해외 법인의 고속 성장이 있다. 코스맥스 한국 법인은 2023년 처음 매출 1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매출 1조 3,577억원, 영업이익 1,387억원을 기록하며 고성장을 이어갔다.

특히 코스맥스는 1992년 설립 이래 화장품 ODM 분야에만 집중해왔으며, 현재 화장품 ODM 사업 부문 매출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으로 성장했다. 국내외 수많은 브랜드사에 코스맥스가 개발한 화장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해외 고객으로는 세계 최대의 화장품 그룹들이 포함되어 있다.

MZ세대와의 진정성 있는 소통 혁신
코스맥스의 인스타그램 계정은 1년 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7월 운영을 본격화한 이후 팔로워 수는 약 5배 증가한 2.1만명을 달성했으며, 총 누적 조회수는 약 900만 회를 상회했다.

이러한 성공의 비결로 '진정성'이 꼽힌다. B2B 기업 특성상 기술 소개 중심으로 전개되던 콘텐츠의 문법을 바꿔 브이로그, 매거진 형태 등 MZ세대가 선호하는 콘텐츠 형식으로 소통의 영역을 확장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현직자 시점의 콘텐츠를 최신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을 재해석해 시의적절하게 접목한 콘텐츠가 특히 인기를 끌었다. 형식적인 기업 계정과는 다르게 차별화된 기업브랜드 친밀감을 형성한 것이다.

Z세대 담당자를 통한 수평적 의사결정 구조

코스맥스의 SNS 성공에는 조직 운영 방식의 혁신도 큰 역할을 했다. 계정 운영을 맡은 Z세대 담당자가 아이디어를 그대로 실현할 수 있도록 수평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전폭 지원했다. 주요 SNS 채널 이용자 층인 MZ세대의 눈높이에 맞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었다.

감각적인 연출을 더해 팔로워들과의 활발한 소통을 이끌고 있으며, 기업 초청 이벤트, 댓글 및 메시지를 통한 양방향 소통 확대 등 팔로워와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였다.

특히 그동안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생산공장 소개 영상 등 기업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가 조회수 100만 회 이상을 기록하는 등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는 B2B 기업이라는 한계를 뛰어넘어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콘텐츠 전략의 성공을 보여준다.

채용 마케팅과 브랜딩의 시너지 효과

코스맥스의 SNS 전략은 단순한 브랜드 홍보를 넘어 인재 채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임직원의 하루를 소개하는 <뷰티회사 관찰일기> 콘텐츠 등을 통해 구직자들의 직무 이해도를 높이고 기업 친숙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한 결과,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 조사에서 '올해 상반기 구직자가 가장 많이 조회한 뷰티업계 1위'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주요 고객사의 팝업 스토어 방문 콘텐츠 및 신제품 개발 소식도 전하며 고객사와 소비자를 잇는 주요 소통 창구로써 가교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B2B 기업이 최종 소비자와도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모델을 제시한다.

고객사와의 관계 변화와 인플루언서로서의 위상

채널 인지도가 증가하며 콘텐츠 제작 양상도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이전에는 고객사 등 브랜드 행사에 촬영 가능 여부를 문의하고 협조를 구해 진행하는 방식이었지만, 최근에는 고객사에서 촬영을 요청하고 제품 소개 '러브콜'을 보내는 사례가 증가했다.

뷰티업계 SNS 채널의 '인플루언서'로 영향력이 확대되며 내부 임직원의 참여율도 높아지는 추세다. 이는 코스맥스가 단순한 제조업체를 넘어 뷰티 트렌드를 선도하는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확장을 위한 전략적 기반 구축

코스맥스는 K뷰티가 SNS 채널을 통해 확산되는 양상에 주목해 향후 해외법인과 협력을 확대해 미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글로벌 고객사와 소비자의 트렌드에 맞춘 글로벌 SNS 채널 공략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는 코스맥스의 글로벌 사업 확장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코스맥스 인도네시아 매출은 전년 대비 31.9% 증가한 1,132억원을 기록하며 2011년 설립 이후 처음으로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다. 태국 법인 매출은 435억원으로 전년 대비 70.4% 급증했다.

소셜미디어 시대 B2B 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코스맥스의 이번 수상은 B2B 기업들에게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전통적으로 B2B 기업들은 소셜미디어 마케팅에 소극적이었지만, 코스맥스는 진정성 있는 콘텐츠와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이러한 한계를 돌파했다.

특히 Z세대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존중하고 실현할 수 있는 조직 문화, 최신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하는 콘텐츠 전략, 그리고 일방적인 홍보가 아닌 양방향 소통을 중시하는 접근 방식은 다른 B2B 기업들이 참고할 만한 모델이다.

뷰티 산업의 미래를 이끄는 게임체인저

코스맥스 관계자는 "커뮤니케이션 트렌드가 변화하는 가운데 소비자와 고객사를 잇는 진정성 있는 소통 노력이 인정받아 뜻깊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뷰티 트렌드를 발빠르게 전달하는 글로벌 뷰티업계의 '게임체인저'가 되겠다"고 밝혔다.

이번 수상은 코스맥스가 단순한 제조업체를 넘어 뷰티 트렌드를 선도하고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는 브랜드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K뷰티의 글로벌 확산 과정에서 ODM 기업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와의 지속적인 소통 강화

소셜미디어 성공을 바탕으로 코스맥스는 더욱 다양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스타그램에서 검증된 콘텐츠 제작 역량을 다른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에 맞는 현지화된 콘텐츠 개발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한 MZ세대뿐만 아니라 알파세대까지 아우를 수 있는 더욱 혁신적인 소통 방식을 개발하여 차세대 뷰티 소비자들과의 관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코스맥스의 이번 성과는 전통적인 제조업체가 어떻게 디지털 시대에 맞는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창조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향후 다른 B2B 기업들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코스맥스, '소셜아이어워드 2025' 인스타그램 부문 최고대상 수상...B2B 기업의 SNS 혁신 성공 사례로 주목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30.09 ▼21.47
코스닥 777.61 ▼10.35
코스피200 423.66 ▼2.5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76,000 ▲1,094,000
비트코인캐시 775,500 ▲10,000
이더리움 5,954,000 ▲165,000
이더리움클래식 29,490 ▲640
리플 4,069 ▲96
퀀텀 2,925 ▲5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51,000 ▲1,208,000
이더리움 5,969,000 ▲175,000
이더리움클래식 29,530 ▲670
메탈 1,009 ▲21
리스크 540 ▲14
리플 4,070 ▲91
에이다 1,222 ▲39
스팀 18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050,000 ▲930,000
비트코인캐시 774,500 ▲10,000
이더리움 5,960,000 ▲165,000
이더리움클래식 29,530 ▲720
리플 4,070 ▲98
퀀텀 2,911 ▲31
이오타 26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