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2(금)

광명시, 국토부 2026년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챌린지 사업공모 선정

국비 5억 7천만 원 확보… 총 11억 4천만 원으로 약 38.5㎢ 고정밀 전자지도로 구축

이정훈 CP

2025-07-28 16:31:51

광명시가 시 전역 고정밀 전자지도로 구축

광명시가 시 전역 고정밀 전자지도로 구축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시 전역을 고정밀 전자지도로 구축해 스마트 행정력을 높인다.

시는 국토교통부 소속 국토지리정보원이 주관하는 ‘2026년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챌린지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며, 사업비 5억 7천만 원을 확보했다고 28일 밝혔다.

확보한 국비에 시비를 더해 총 11억 4천만 원으로 2026년부터 광명시 전 지역 약 38.5㎢를 고정밀 전자지도와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로 만들 예정이다.

‘고정밀 전자지도’는 도로와 도시 공간의 물리적 요소들을 센티미터(cm) 단위 수준의 정밀도로 디지털화한 3차원 지도 데이터로, 실시간 정밀 위치 인식과 시뮬레이션이 가능해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와 공간정보 응용 기술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된다.
시는 전체 면적의 약 42%가 광명시흥 3기 신도시 개발,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만큼, 항공촬영과 레이더 등 최신 기법과 첨단 장비를 활용해 도시 전역의 고정밀 공간정보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탄소중립과 도시개발 분야 정책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가 지난 1월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한 ‘디지털 국토 플랫폼’과 연계해 활용도를 높일 방침이다.

탄소중립 분야에서는 건물 에너지 관리와 그린리모델링 대상 건축물 선정, 태양광 설치 적합지 분석 등에, 도시개발 분야에서는 변화하는 도시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경관 시뮬레이션과 공간 데이터 제공 등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은 급변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광명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며 “탄소중립과 도시개발은 물론, 자율주행과 스마트 모빌리티 등 미래형 도시 인프라 구축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글로벌에픽 이정훈 CP / smedail@daum.net]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92,000 ▼132,000
비트코인캐시 827,500 ▼2,000
이더리움 6,307,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9,940 ▼60
리플 4,245 ▼6
퀀텀 3,593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36,000 ▼246,000
이더리움 6,303,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9,950 ▼80
메탈 1,008 0
리스크 529 ▲3
리플 4,245 ▼5
에이다 1,253 ▼2
스팀 18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3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829,500 ▼500
이더리움 6,305,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960 ▼80
리플 4,241 ▼7
퀀텀 3,601 ▼10
이오타 27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