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11(월)

지니언스, 2분기 부진에도 "글로벌 진출이 답이다"

매출 114억·영업익 11억으로 컨센서스 하회...MDR 신서비스·해외 확장으로 반등 기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11 12:35:10

지니언스, 2분기 부진에도 "글로벌 진출이 답이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정보보안 전문기업 지니언스가 2분기 부진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과 신제품 출시를 통한 하반기 반등을 예고했다. 국내 공공부문 예산 삭감이라는 악재 속에서도 민간 수요 증가와 해외 사업 확장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니언스는 11일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1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1억원으로 43.3% 급감했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매출액 137억원, 영업이익 22억원)를 크게 하회하는 수준이다.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함께 국내 공공부문의 정보보호 예산 삭감 및 집행 지연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의 긴축 기조가 지속되면서 공공기관의 IT 투자가 전반적으로 위축된 영향이 컸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전체 매출의 82%를 차지하는 네트워크 보안 제품 매출이 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감소했다. 네트워크 보안 용역 부문도 19억원으로 3.6% 줄어들며 전 부문에서 매출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지니언스의 핵심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NAC(Network Access Control) 제품의 경우 제조업체 대기업과 해외법인을 중심으로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EDR(Endpoint Detection & Response) 제품 역시 사이버 위협이 갈수록 정교해지면서 금융권과 대기업 등 민간 부문에서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공공 부문의 예산 삭감에도 불구하고 민간 영역에서는 정보보안에 대한 투자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글로벌 사업도 꾸준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2분기 말 현재 글로벌 고객 수는 172개로 증가했으며,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에서 EDR 고객 2곳을 새로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는 지니언스가 중동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지니언스는 3분기부터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3분기 매출액 123억원, 영업이익 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1%, 3.6%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하반기 성장을 뒷받침할 핵심 요인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정부의 추경 편성과 연이은 해킹 사고로 인해 공공과 민간 모두에서 정보보호 투자가 다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둘째, 새로 출시하는 MDR(Managed Detection and Response) 서비스의 기여분이다. 이 서비스는 중소기업을 타깃으로 EDR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고가의 솔루션 도입이 부담스러운 중소기업들에게 어필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글로벌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중동 지역에서의 성과는 다른 신흥국 시장 진출에도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도 지니언스는 매력적인 수준으로 평가된다. 현재 주가는 2025년 실적 기준 PER 14.0배로, 국내외 동종업체 평균 PER 34.3배 대비 큰 폭으로 할인 거래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의 박종선 애널리스트는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지만, 이는 일시적인 공공 부문 예산 삭감의 영향으로 보인다"며 "민간 부문의 정보보안 투자 증가와 글로벌 진출 확대, 그리고 MDR 등 신규 서비스 출시를 감안하면 하반기부터는 성장세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애널리스트는 또 "특히 글로벌 고객이 172개까지 늘어나고 중동 지역에서도 EDR 고객을 확보한 것은 매우 긍정적"이라며 "현재 주가는 동종업체 대비 과도하게 할인된 상태로, 실적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면 재평가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지니언스는 공공 부문 의존도를 줄이고 민간과 해외 시장 비중을 늘려가며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단기적인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성장 스토리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6.77 ▼3.24
코스닥 811.85 ▲2.58
코스피200 433.29 ▼0.1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10,000 ▼412,000
비트코인캐시 786,000 ▼1,500
이더리움 5,847,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31,450 ▼160
리플 4,506 ▲45
퀀텀 2,985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39,000 ▼195,000
이더리움 5,849,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31,580 ▲60
메탈 1,063 ▲10
리스크 605 ▲2
리플 4,551 ▲99
에이다 1,119 ▲5
스팀 18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120,000 ▼570,000
비트코인캐시 787,000 0
이더리움 5,83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1,460 ▼140
리플 4,505 ▲45
퀀텀 2,963 ▼76
이오타 28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