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6(화)

LG디스플레이, 3분기 흑자전환 확실시… 목표가 1만5천원 상향

P-OLED 물량 확대·감가상각 완료 효과로 하반기 뚜렷한 실적 개선 기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16 10:39:26

LG디스플레이, 3분기 흑자전환 확실시… 목표가 1만5천원 상향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LG디스플레이가 올 3분기 흑자전환을 확실시하며 하반기 본격적인 실적 회복세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 주력 고객사향 P-OLED 출하량 확대와 감가상각 완료 효과가 맞물리면서 수익성 개선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iM증권은 16일 발표한 분석보고서를 통해 LG디스플레이의 3분기 실적이 매출액 6조7천억원(전년동기대비 -2%, 전분기대비 +20%), 영업이익 4,510억원(흑자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기대치인 매출액 6조8천억원, 영업이익 2,922억원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실적 호조의 주요 배경은 북미 주력 고객사의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효과다. 특히 올해부터 동사의 P-OLED 패널이 적용되는 모델수가 지난해 2종에서 3종으로 확대되며, 신제품 출시 첫 주의 선주문 수요도 우호적이다.

여기에 국내 경쟁사의 초기 품질 이슈로 인한 출하 지연이 발생하면서 동사의 스마트폰용 P-OLED 물량에서 반사이익이 예상되리라는 것이 iM증권의 분석이다. 또한 최근 Japan Display가 북미 고객사 스마트워치용 OLED 사업에서 철수하고 모바라 공장 설비 매각을 결정하면서 동사가 해당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개선 요인이 뚜렷하다. 지난해 하반기 P-OLED 라인의 감가상각이 종료된 것에 이어, 올해 하반기부터는 중국 광저우 공장(60K/월) 감가상각도 추가로 완료된다. 이에 따라 OLED 부문의 고정비 부담이 크게 완화되면서 수익성 개선폭이 클 전망이다.

특히 지난 2분기부터 흑자전환하기 시작한 OLED TV 부문은 감가상각 종료 효과가 본격 반영되면서 영업이익률이 2025년 약 7%에서 2026년에는 약 10% 중반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 하반기 북미 주력 고객사의 첫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로 동사의 모바일 P-OLED 물량 축소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내외부 디스플레이 면적 확대 효과를 감안하면 연간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량 약 2,000만대 가정시 북미 고객사향 모바일 OLED 패널 총 수요는 출하면적 기준 약 1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반영한 2026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5조9천억원(+1% YoY), 1조5천억원(+52% YoY)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 지속적인 적자 구조에 놓여 있던 IT용 LCD도 저수익성 제품 비중 축소와 원가 절감 노력 등을 통해 적자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면서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iM증권은 LG디스플레이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1만2천원에서 1만5천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목표주가는 12개월 선행 BPS 16,938원에 2010년 이후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던 시기의 평균 P/B 배수인 0.85배를 적용하여 산출했다.

현 주가는 2026년 예상 실적 기준 P/B 0.67배로 과거 흑자를 기록했던 시기의 P/B 밸류에이션 하단 평균(0.64배) 수준이다. 향후 영업이익 흑자 기조가 이어지고 재무구조도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하방 경직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된다.
정원석 iM증권 애널리스트는 "3분기 북미 주력 고객사향 P-OLED 출하량 확대 효과가 뚜렷할 전망"이라며 "감가상각 완료와 맞물려 OLED 부문의 고정비 부담이 크게 완화되면서 수익성 개선폭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450.37 ▲43.06
코스닥 851.94 ▼0.75
코스피200 472.50 ▲7.85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73,000 ▲172,000
비트코인캐시 823,000 ▼500
이더리움 6,29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8,250 ▼30
리플 4,150 ▼6
퀀텀 3,362 ▼1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30,000 ▲160,000
이더리움 6,296,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8,330 ▲20
메탈 992 ▼5
리스크 494 ▼3
리플 4,152 ▼1
에이다 1,198 ▲1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7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823,000 ▼500
이더리움 6,295,000 0
이더리움클래식 28,270 ▼180
리플 4,149 ▼6
퀀텀 3,366 ▼14
이오타 26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