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0.20(월)

영풍, 유니슨과 손잡고 풍력발전 진출... "친환경 제련소 전환 가속"

봉화 석포제련소에 43MW 풍력단지·5MW 태양광 발전소 구축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0-13 12:38:53

서울 강남구 소재 (주)영풍 본사에서 김기호 영풍 대표(오른쪽)와 박원서 유니슨 대표가 '풍력 사업 공동 개발'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소재 (주)영풍 본사에서 김기호 영풍 대표(오른쪽)와 박원서 유니슨 대표가 '풍력 사업 공동 개발'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영풍이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격 확대하며 친환경 제련소 전환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영풍은 13일 서울 강남구 본사에서 국내 풍력발전 선도기업인 유니슨과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김기호 영풍 대표와 박원서 유니슨 대표가 참석한 이번 협약식에서 양사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제련소 인근에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협약은 석포제련소가 위치한 봉화군 산악지대가 풍력발전에 유리한 입지라는 점을 전략적으로 활용한 조치다.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산업용 전력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풍력과 태양광을 아우르는 복합 신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성장과 ESG 경영 강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영풍과 유니슨은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1단계로 석포제련소 인근 산악지역에 올해 연말까지 풍황계측기를 설치해 금년 겨울부터 1년간 풍향 및 풍속 데이터를 취득·분석하고 사전 환경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후 단계적으로 4.3MW 풍력발전기 10기를 건설해 총 43MW 규모의 풍력발전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연간 예상 발전량은 약 82,000MWh에 달한다. 영풍은 유니슨이 축적한 풍력발전기 설계·제조 및 운영 역량과 대규모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봉화지역 풍력 발전사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풍력 발전과 더불어 태양광 발전을 위한 투자도 병행된다. 석포제련소에 전담 TFT(태스크포스팀)를 신설하고 공장 내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소를 추진 중이다.

석포제련소 2공장과 3공장 사이 총면적 140,486㎡(약 4만2,570평) 부지에 발전용량 약 4~5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건설될 예정이다. 연간 예상 발전량은 약 7,000MWh다.

영풍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는 정부가 추진 중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체계 대전환과 궤를 같이한다. 이는 영풍이 환경부 통합환경인허가 취득을 전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환경분야 혁신과제들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영풍은 2021년 세계 제련업계 최초로 폐수 무방류(ZLD, Zero Liquid Discharge) 시스템을 구축해 폐수를 전량 재활용하고 폐수의 외부 유출 필요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했다. 또한 석포제련소 외곽 2.5km 전 구간에 지하수 확산방지시설을 구축하고, 하루 평균 450톤(우수기 최대 1,200톤)의 지하수를 뽑아 올려 정화 처리 후 공정에 재이용하고 있다.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산소공장 및 오존설비 신설 등 최근 수년간 4,000억 원이 넘는 투자를 단행하며 환경문제의 혁신적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영풍 관계자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조성사업은 단순히 신재생에너지 확보 차원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의 환경 정책과 발맞춰 환경 친화적인 경영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기 위한 석포제련소의 장기적인 환경 투자 사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14.69 ▲65.80
코스닥 875.77 ▲16.23
코스피200 535.28 ▲9.80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072,000 ▼191,000
비트코인캐시 722,500 ▼1,000
이더리움 6,051,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210 ▲90
리플 3,685 ▲12
퀀텀 3,039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240,000 ▼355,000
이더리움 6,053,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220 ▲80
메탈 778 ▲2
리스크 341 ▼2
리플 3,686 ▲12
에이다 1,001 ▲1
스팀 14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6,000,000 ▼430,000
비트코인캐시 721,500 ▼2,500
이더리움 6,050,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250 ▲120
리플 3,682 ▲13
퀀텀 3,032 0
이오타 22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