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퍼 울프(Ofer Wolf) 아카마이 엔터프라이즈 보안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한 기업은 사이버 위협에 더 빠르게 대응하고 있으며, 보험료 절감 효과도 누리고 있다. 적절한 정책 제어가 병행된다면 공격자가 AI를 활용해 위장하거나 네트워크 침투를 시도하더라도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공격 성공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며, “네트워크를 세분화하고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는 것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궁극적인 방어책이며, 이는 기업이 안정적으로 업무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해준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도입 현황
설문 응답 기업의 90%가 어떤 형태로든 세그멘테이션을 도입했지만, 네트워크 전반에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한 곳은 35%에 불과하다.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도입 의지와 실제 도입 간의 갭으로 인해 여전히 많은 기업이 사이버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다행히도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하지 않은 기업의 절반이 2년 이내 도입할 계획이며, 현재 도입한 기업의 68%는 투자를 확대할 방침인 것으로 나타났다.
• 랜섬웨어 공격 차단: 설문 응답 기업의 79%는 지난 24개월 동안 한 번 이상 랜섬웨어 공격을 경험했다.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한 기업 중 63%는 랜섬웨어 공격 범위가 네트워크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했다고 답했다.
• 신속한 사고 대응: 56%는 보안 사고에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했다고 답했다.
• 핵심 자산 보호: 74%는 고위험 자산을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하고 있다고 답했다.
• 내부 위협 대응: 57%는 악의적이거나 우발적인 내부 위협으로부터 자사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했다고 답했다.
• 규제 요건 충족: 57%는 규제 기준을 준수하고 및 잠재적 제재를 피하기 위해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보고서에 따르면, 연 매출 10억 달러 이상 보안 기업 중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한 기업의 경우, 랜섬웨어 차단 시간이 33% 단축되며 대응 속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보험에서의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역할
또한 이번 보고서는 기업이 세그멘테이션의 성숙도가 다음과 같은 보험 관련 이점과 직결된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통한 사이버 보험 관련 이점
• 감사 보고 간소화: 설문 응답 기업의 85%는 세그멘테이션으로 감사 보고가 수월해졌다고 답했으며, 그중 33%는 검증(attestation) 및 보증(assurance) 관련을 절감했다고 답했다.
• 보험료 절감: 60%는 세그멘테이션 성숙도에 따라 보험료 할인 혜택을 받았다고 밝혔다.
• 청구 승인 향상: 74%는 세그멘테이션이 강화되면 보험금 청구 승인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도입 관련 과제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이 초기 도입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기업은 기존의 북남(north-south) 방향 세그멘테이션에만 의존하고 있어, 점점 고도화되는 사이버 공격과 횡적 이동(lateral movement)에 취약하다.
설문 응답 기업은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도입의 주요 과제로 네트워크 복잡성(44%), 가시성 부족(39%), 운영상의 반발(32%)을 꼽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을 도입한 기업은 시스템 손상 사례 감소, 복구 비용 절감, 비즈니스 연속성 강화 등의 효과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의 효과적인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 및 권장 사항과 함께 아카마이가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도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AI에 어떻게 투자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보고서 전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사 방법론
본 보고서는 올해 아카마이 의뢰로 시장 조사 기관 프로네시스 파트너스(Phronesis Partners)가 실시한 독자적인 리서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전 세계 1,200명의 보안 및 기술 리더의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기업이 세그멘테이션에 접근하고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성숙도를 높이는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업계, 지역, 기업 규모를 아우르는 표본을 바탕으로 세그멘테이션의 최신 현황, 관련 과제 등에 대해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