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07(금)

뷰런테크놀로지, 중국 4개 현지 파트너 확보… OEM·스마트시티 협력 확대

미국·유럽·일본에 이어 중국까지 전략적 확장…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신승윤 CP

2025-10-29 09:35:10

중국 항저우서 열린 ‘EAC2025’ 행사에 마련된 뷰런 부스에서 김재광 대표가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중국 항저우서 열린 ‘EAC2025’ 행사에 마련된 뷰런 부스에서 김재광 대표가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자율주행 및 스마트 인프라 분야의 라이다(LiDAR) 솔루션 전문 기업인 뷰런테크놀로지(Vueron Technology, 대표 김재광)가 올해를 중국 시장 진출의 원년으로 삼고, 해외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고 27일 밝혔다.

뷰런테크놀로지는 독보적인 라이다 인지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 4월부터 중국 현지에서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며 파트너십 생태계 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 창춘에서 열린 ‘한-중 차세대 모빌리티 협력 플라자’에서 현지 자동차 OEM 및 1차 협력사(Tier-1) 기업과의 직접 미팅을 통해 첫 시장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6월 항저우에서 개최된 ‘EAC 2025’에서는 현지기업 라이트아이씨(LightIC)와의 MOU 체결을 통해 자율주행 및 스마트 인프라 분야에서 공동 데모 시연을 진행하며 실질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였다. 7월 상하이에서는 현지 OEM, 1차 협력사(Tier-1)과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뷰런의 자율주행 인지 솔루션 뷰원(VueOne)과 AI 기반 통합 개발 플랫폼 뷰엑스(VueX)를 선보이며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또한 최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정부 주도의 국가급 스마트시티 전시회 'CIFTIS 2025'에서는 즈쥐에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Zhijue Intelligent Technology)와 MOU를 체결, 공동 부스 운영을 통해 현지 인지도를 확대하는 성과를 거뒀다.
현재 뷰런은 즈쥐에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Zhijue Intelligent Technology), 풀스마트테크(FullSmarts Tech) 등 중국 각 지역별 총 4개의 현지 파트너사를 확보한 상태로, 프로젝트 공동 추진 및 사업화 논의를 진행하며 중국 시장 내 기반을 빠르게 공고히 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전시 참여를 넘어 중국 현지 파트너십 생태계에 본격적으로 편입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뷰런테크놀로지는 국내뿐만 아니라 북미, 일본 등 글로벌 자동차 고객으로부터 수주를 받아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아왔다. 올해는 뷰런이 기술력에 더해 시장 다각화와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차세대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한 해로 평가된다.

김재광 뷰런테크놀로지 대표는 "뷰런의 라이다 인지 기술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그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며, "일본, 미국, 유럽에 이어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화 전략과 파트너사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시리즈 A 라운드에서 220억 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누적 투자액 총 330억 원을 달성한 뷰런테크놀로지는 최근 미래에셋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상장 준비 중이다.

‘EAC2025’ 행사에서 뷰런테크놀로지 김재광 대표가 자사의 라이다 인지 솔루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EAC2025’ 행사에서 뷰런테크놀로지 김재광 대표가 자사의 라이다 인지 솔루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뷰런테크놀로지, 중국 베이징서 열린 ‘CIFTIS 2025’에서 ZhiJue(致觉科技)와 MOU를 체결했다.(좌측부터 뷰런테크놀로지 이승용 이사, ZhiJue 송진휘(Song Jinhui, 宋进辉) 대표

뷰런테크놀로지, 중국 베이징서 열린 ‘CIFTIS 2025’에서 ZhiJue(致觉科技)와 MOU를 체결했다.(좌측부터 뷰런테크놀로지 이승용 이사, ZhiJue 송진휘(Song Jinhui, 宋进辉) 대표



[글로벌에픽 신승윤 CP / kiss.sfws@gmail.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55.49 ▼70.96
코스닥 876.23 ▼21.94
코스피200 558.40 ▼9.98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996,000 ▲191,000
비트코인캐시 728,000 ▲4,500
이더리움 5,03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2,720 ▲50
리플 3,344 ▲4
퀀텀 2,700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988,000 ▼15,000
이더리움 5,029,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2,740 ▲60
메탈 661 ▲3
리스크 288 ▲3
리플 3,342 ▲4
에이다 814 ▲2
스팀 12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03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726,500 ▲4,500
이더리움 5,025,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2,720 ▲40
리플 3,344 ▲5
퀀텀 2,700 ▲15
이오타 19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