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11.21(금)

급등한 증권업종...3분기 이후 점검 및 수혜주는?

"2007년 패턴 재현 우려에도 4Q 거래대금 호조 지속"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11-21 14:34:58

급등한 증권업종...3분기 이후 점검 및 수혜주는?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증권업종이 올해 들어 코스피를 크게 웃도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11월 20일 기준 증권업종의 연초 대비 수익률은 106.7%를 기록하며 코스피 수익률 66.9%를 40%포인트나 상회했다. 주가는 4~6월과 9~10월에 집중 상승했는데, 이는 양호한 실적과 금리인하 기대감, 코스피 5,000포인트 공약 기대감, 스테이블코인 및 자사주 의무소각 관련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하지만 최근 증권업 지수의 상승세는 과거 2007년 수준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상승의 높이보다는 상승 속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7년 11~12월 증권업 지수가 조정을 받으며 하락했던 것처럼, 현재도 유사한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코스피 지수 증가율 수준과 10월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이 지수 상승의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단기 조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향후 코스피의 추가 상승은 개인 투자자의 매매회전율 상승에 달려 있다. 최근까지의 증시 상승은 주로 외국인 투자자의 매매회전율 상승에 기인했다. 과거 1개월간 외국인 순매수는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업종 위주로 이뤄졌으며 그중 반도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최근 외국인이 순매도로 전환하면서 개인이 순매수하는 양상이다. 상대적으로 덜 상승한 개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의 회전율을 감안할 때, 향후 코스피 지수의 추가 상승은 이들의 회전율 상승 여부에 달려 있다.
4분기 거래대금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0월 국내 일평균 거래대금은 40조3천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 일평균 거래대금 25조8천억원 대비 크게 증가했다. 해외주식 거래대금 역시 10월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 11월 수준을 감안하면 4분기 거래대금은 3분기 대비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금리인하 지연으로 채권금리가 상승하면서 증권사들의 채권 평가손실이 우려되는 상황이어서 4분기 실적을 긍정적으로 판단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다.

유안타증권 우도형 애널리스트는 "큰 모멘텀이 없다면 단기 조정은 정상적인 흐름"이라고 전제한 후 "다만 거래대금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브로커리지 중심 증권사들의 실적 개선은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금리 변수가 4분기 실적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그는 눈여겨볼 종목으로는 삼성증권을 꼽았다.
삼성증권이 3분기 깜짝 실적을 발표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3분기 지배주주 순이익은 3,092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21.8% 상회했다. 트레이딩 손익을 제외한 전 부문에서 양호한 실적을 달성한 것이 주효했다. 위탁매매 수수료는 거래대금 상승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21.9% 증가했으며, IB 및 기타수익은 인수금융 관련 대형 딜 발생으로 구조화금융 수수료 수익이 늘어나며 전분기 대비 45.6% 급증했다.

배당 매력도 높아지고 있다. 삼성증권은 연결기준 배당성향 35% 이상을 주주환원정책으로 제시했으며, 2025년 기준 주당배당금 4,000원이 예상되면서 배당수익률은 5.1%에 달할 전망이다. 4분기에도 거래대금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브로커리지 비중이 높은 삼성증권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우 애널리스트는 삼성증권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만5,000원을 제시하며, "4분기 거래대금 증가 수혜가 예상되며, 배당수익률 5% 수준도 매력적이다"라고 평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853.89 ▼150.96
코스닥 863.20 ▼28.74
코스피200 540.78 ▼23.42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8,237,000 ▼174,000
비트코인캐시 716,000 ▼1,000
이더리움 4,189,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0,110 ▼80
리플 2,953 ▼7
퀀텀 2,383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8,291,000 ▼192,000
이더리움 4,192,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0,140 ▼50
메탈 615 ▲4
리스크 281 ▼2
리플 2,953 ▼11
에이다 633 ▼2
스팀 110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28,200,000 ▼210,000
비트코인캐시 716,000 ▼1,000
이더리움 4,189,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0,100 ▼60
리플 2,954 ▼8
퀀텀 2,375 ▲14
이오타 17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