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은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통신장비 국가·공공기관 도입을 위한 ‘보안기능 검증제도’를 운영한다. [사진=국정원]](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32713525203868aba9b9427114522121.jpg&nmt=29)
국정원은 세계 최초로 양자암호통신장비 국가·공공기관 도입을 위한 ‘보안기능 검증제도’를 운영한다. [사진=국정원]
국정원은 양자암호통신장비를 양자키분배장비(QKD), 양자키관리장비(QKMS), 양자통신암호화장비(QENC) 등 3가지로 분류했으며, 총 152개 보안 기준을 담았다.
시험기관으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을 지정했다. 이 가운데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양자키분배장비의 핵심 보안요소인 양자특성 시험을 전담하기로 했다.
국정원 측은 “국내 양자암호통신장비의 보안기능과 운용환경을 분석해 세계 최초로 최적의 보안요구사항을 도출하고 관련 절차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정보원·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국정원 관계자는 “보안기능 검증제도로 양자암호통신장비가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됐다”면서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 관련 제품의 국내외 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해 표준화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현 글로벌에픽 기자 neoforum@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