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1명(73.6%)은 재산이 증가했고, 536명(26.4%)은 감소했다. 변동 요인으로는 부동산 공시가 상승분이 3,003만 원으로 가장 컸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30일, 행정부 소속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국립대학총장, 공직유관단체장,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시·도 교육감 등 공개대상자의 재산 신고 내역을 관보를 통해 공개했다.
재산규모별로 보면, 20억 원 이상이 3명 중 1명꼴인 638명(31.3%)으로 가장 많았고 ▲ 10억∼20억 원 587명(28.8%) ▲ 5억∼10억 원 383명(18.8%) ▲ 1억∼5억 원 349명(17.1%) ▲ 1억 원 미만이 80명(3.9%) 순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약 77억 원을 신고했다.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주택을 비롯해 부인 김건희 여사 명의 부동산·예금이 대부분으로, 윤 대통령 본인 재산은 예금 5억 3,739만 원이다.
내각에서는 한덕수 총리가 85억 2.000만 원을 신고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총 148억 7000만 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김영환 충북지사 66억 5,000만 원, 오세훈 서울시장 64억 4,000만 원, 박형준 부산시장 57억 3,0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재산공개 대상자 중 총액 1위는 532억 6,000만 원을 신고한 조성명 강남구청장이다. 본인 명의의 강남구 아파트 이외에 오피스텔 30채 등을 신고했다.
이어 이원모 대통령실 인사비서관(443억 9,000만 원), 임준택 수협중앙회장(311억 6000만 원),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293억 8,000만 원)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는 공개된 모든 공직자의 재산 변동사항을 오는 6월 말까지 심사한다.
과다한 재산변동에 대해서는 재산형성 과정을 집중 심사할 예정이다. 특히 직무상 비밀을 이용한 부동산 취득 여부, 법인을 통한 부동산 명의신탁 여부 등을 심층 심사한다.
심사에서 법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 또는 징계 의결 요구 등의 조치가 이뤄진다.
글로벌에픽 편집국 epic@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