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14(일)

송도11공구 개발계획 변경· · ·첨단·바이오 클러스터 확대한다

제144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 원안 가결
바이오 등 핵심산업 투자유치용지 추가확보, 바이오 메가클러스터 조성 발판 마련

김민성 CP

2025-07-08 10:07:02

여의도 면적의 4.3배 규모인 송도 11공구(1,245만m2)는 매립 및 기반시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여의도 면적의 4.3배 규모인 송도 11공구(1,245만m2)는 매립 및 기반시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글로벌에픽 김민성 CP]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윤원석)은 송도 11공구 개발사업(첨단산업클러스터(C))의 개발계획 변경(안)이 지난 6월 26일 산업통상자원부 제144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에서 원안 가결됐다고 밝혔다.

송도국제도시는 2024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바이오특화단지로 지정됐으며, 그에 따른 국내‧외 기업의 토지 공급 요청 등 투자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가용 토지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인천경제청은 현재 매립 및 기반시설 공사중인 첨단산업클러스터(C)의 토지이용계획을 변경해 산업시설용지를 추가 확보하고, 첨단‧바이오산업 클러스터 생태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개발계획 변경은 ▲산업‧연구시설용지 집적배치 ▲주거‧학교용지 재배치 ▲공원, 도로 등 기반시설 재배치 등이 골자다.
세부 변경 내용은 중앙 공원축 기준으로 남쪽에 산업 및 연구시설용지를 집적배치하여 바이오 클러스터 기능을 강화했으며,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북쪽에 주거 및 학교용지를 배치하였다.

또한 워터프런트 사업의 일부인 내부수로 변의 특별계획구역(미니베니스, 미니말리부)은 투자유치의 효율성 제고와 늘어나는 상업시설의 공실 문제 해소 등을 위해 일부 연립 및 상업용지를 주상복합용지로 변경했다.

산업‧연구용지, 주거용지 등 재배치에 따라 전체적인 가로망 계획과 공원‧녹지계획을 효율적으로 재수립하였으며, 관련부서 협의 의견을 반영하여 기반시설용지를 재배치했다.

인천경제청은 이번 개발계획 변경에 따라 환경‧교통영향평가, 교육환경평가, 경관심의 등 후속 행정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여 금년 내 첨단산업클러스터(C) 실시계획(변경)을 수립해 고시할 계획이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송도국제도시를 세계적인 바이오 메가클러스터로 성장시키기 위한 개발계획 변경 수립이 마무리됐다. 세계 바이오 시장에서 초격차를 확대하고, 차별화된 도시 환경을 구축해 인천의 미래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여의도 면적의 4.3배 규모인 송도 11공구(1,245만m2)는 현재 68.3%의 개발률을 보이고 있다. 매립 및 기반시설 공사는 11-1공구(432만m2)는 올해말, 11-2공구(153만m2)는 2029년, 11-3공구(107만m2)는 2030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글로벌에픽 김민성 CP / Kmmmm112@naver.com]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95.54 ▲51.34
코스닥 847.08 ▲12.32
코스피200 462.74 ▲8.7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15,000 ▲351,000
비트코인캐시 827,000 ▲3,500
이더리움 6,424,000 ▲39,000
이더리움클래식 30,420 ▲220
리플 4,307 ▲21
퀀텀 3,603 ▲3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30,000 ▲452,000
이더리움 6,427,000 ▲42,000
이더리움클래식 30,410 ▲70
메탈 1,071 ▲4
리스크 532 ▼2
리플 4,308 ▲20
에이다 1,279 ▲11
스팀 19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60,000 ▲450,000
비트코인캐시 827,500 ▲3,500
이더리움 6,425,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30,410 ▲230
리플 4,304 ▲17
퀀텀 3,606 ▲22
이오타 27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