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9.02(화)

"50조원 시대를 열다"...KB국민은행, 퇴직연금 자산관리의 새로운 기준점

전 금융권 최초 50조원 달성, AI와 맞춤형 전략으로 18년 연속 1위 신화 이어가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9-02 09:42:14

"50조원 시대를 열다"...KB국민은행, 퇴직연금 자산관리의 새로운 기준점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KB국민은행이 전 금융권 최초로 퇴직연금 자산관리 적립금 50조원을 달성하며 퇴직연금 시장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지난해 9월 45조원을 기록한 지 불과 10개월 만에 달성한 이번 성과는 급변하는 퇴직연금 시장에서 KB국민은행의 독보적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고 있다.

특히 DC형 퇴직연금과 개인형 IRP 부문에서 각각 18년, 15년 연속 적립금 규모 1위를 기록하며 명실상부한 퇴직연금 시장의 절대강자로 자리매김했다. 2025년 2분기 기준 실적배당형 수익률은 개인형 IRP 7.44%로 은행과 증권업계 주요 7개 사업자 중 1위를 기록했으며, DC형 6.75%, DB형 6.80%의 안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퇴직연금 제도 변화에 따른 KB국민은행의 대응 전략

최근 퇴직연금 제도가 단계적으로 의무화되면서 시장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이런 제도적 변화에 발맞춰 기업들이 퇴직연금을 보다 쉽게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단순히 신규 도입을 안내하는 수준을 넘어, 기업별과 개인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퇴직연금 제도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제도를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고, 직원들은 보다 체계적으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아울러 퇴직연금의 효과적인 자산관리를 위해 디지털 혁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표적인 성과가 최근 선보인 '퇴직연금 AI 투자일임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고객 개개인의 투자 성향과 시장 상황을 고려해 로보어드바이저가 자동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해 주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고객이 금융이나 투자 지식이 많지 않더라도, AI가 대신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며, 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객의 노후 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KB국민은행의 퇴직연금 수익률 추이 & 비결

KB국민은행의 퇴직연금 수익률이 지속적으로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는 비결은 차별적인 운용 거버넌스에 있다. 2020년부터 은행권 최초로 임직원 퇴직연금에 적립금 운용 거버넌스를 구축해 OCIO(Outsourced Chief Investment Officer)를 도입 운영하여 차별적 경쟁력과 선제적인 운용 역량을 강화했다.

다년간의 풍부한 적립금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DB 부문에서 변동성이 큰 시장 상황에서도, OCIO컨설팅을 통해 고객사의 포트폴리오를 맞춤형으로 구성한 결과, 수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고객 맞춤형 전략을 통해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체계적인 고객 소통과 관리 시스템이다. KB국민은행 퇴직연금 고객은 매월 개인별 수익률 종합 안내를 카카오톡이나 문자를 통해 받고 있다. 단순한 수익률 안내가 아니라, 가입후 누적수익률과 전월대비 수익률 변동, 실적배당상품 수익률, 연환산 수익률, 평가금액, 납입잔액, 동일연령대 가입자 상위 10% 수익률, 보유한 상품중 적립금 상위 상품의 수익률 정보 등 종합적인 운용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고유계정 대비 과다 보유 고객과 수익률이 낮은 상품을 보유한 고객에게는 리밸런싱을 할 수 있도록 안내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보내며 수익률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다. 퇴직연금 자산관리컨설팅센터를 통해서는 퇴직연금 고객에게 먼저 전화를 걸어, 상품만기 안내와 원하는 고객에게는 리밸런싱을 함께 도와주고 있다.

소통 강화를 위해 KB국민은행 퇴직연금 유튜브채널인 'KB스타연금'을 통해 실시간 생방송으로 쉽고 재미있는 퇴직연금 자산관리 정보를 월 3회(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목요일) 제공하고 있다.

연령대별, 투자성향별 맞춤형 포트폴리오

KB국민은행의 또 다른 강점은 고객의 생애주기에 맞춘 정밀한 포트폴리오 전략이다. 20~30대 젊은 세대에게는 은퇴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주식형 자산의 비중을 확대하는 공격적인 포트폴리오를 추천한다. 40~50대 초반의 중장년층은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시기로, 주식, 채권, 대체투자를 고르게 배분해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면서도 일정 수준의 수익 기회를 잡을 수 있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

50대 중반 이상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를 한 분들은 무엇보다 자산 보존과 연금전환을 위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퇴직연금이 10년, 20년 이상 장기적으로 운용되는 자산이기 때문에 고객의 연령대와 투자 성향에 맞는 맞춤형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KB국민은행의 철학이다. 보다 안정적이고도 높은 수익률을 통한 안정적인 노후자산 준비를 위해 정기예금과 TDF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형태인 디폴트옵션 상품 또는 주식과 채권에 일정 비율로 분산 투자하는 TDF와 같은 자산배분형 상품을 연금상품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고객에게 추천하고 있다.

TDF 상품은 효과적인 분산투자를 위해 자산분산, 지역분산, 통화분산, 시간분산 모두를 하나의 펀드로 해결한 자산배분형 상품으로, 변동성이 낮은 특징이 있다. 비교적 투자기간이 긴 퇴직연금 특성상 고객의 퇴직시기에 맞는 TDF 상품을 선택하여 운용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실제로 KB국민은행이 2025년 연초 국내외 주식시장 급락장세에도 불구하고, 2025년 1분기 개인형 IRP 비원리금상품 고객수익률에서 전 은행권 1위를 하는 등 KB국민은행 퇴직연금고객의 수익률이 타사 고객대비 안정적으로 높은 이유가 바로 디폴트옵션과 TDF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기 때문이다.

[특별기고]업계 선도하는 종합 경쟁력의 비결
KB국민은행 이기택 연금사업부장 / CFP

KB국민은행 이기택 연금사업부장 / CFP


KB국민은행이 전 금융권 최초로 퇴직연금 자산관리 적립금 50조원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숫자의 의미를 넘어, 우리나라 퇴직연금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을 상징하는 역사적 이정표라고 생각합니다.

이같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은 적립금 규모, 수익률, 상품 경쟁력이라는 세 가지 핵심 영역에서 균형잡힌 발전을 추구해왔기 때문입니다. 특히 DC형 퇴직연금 18년 연속, 개인형 IRP 15년 연속 1위라는 기록은 고객들의 꾸준한 신뢰가 만들어낸 결실이라고 자부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별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최근 도입한 AI 투자일임 서비스는 고객 개개인의 투자 성향과 생애주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구성해드립니다. 또한 업계 최다 수준의 다양한 상품 라인업을 통해 고객 한 분 한 분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저희는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가겠습니다. 50조원이라는 새로운 출발선에서 KB국민은행은 국민 여러분의 든든한 노후 파트너로서 더욱 큰 책임감을 갖고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9.21 ▲26.28
코스닥 791.47 ▲6.47
코스피200 427.77 ▲4.44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642,000 ▲807,000
비트코인캐시 787,000 ▲1,500
이더리움 6,086,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28,980 ▲130
리플 3,893 ▲19
퀀텀 3,667 ▲2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727,000 ▲848,000
이더리움 6,083,000 ▲33,000
이더리움클래식 28,950 ▲110
메탈 988 ▲3
리스크 515 ▲1
리플 3,892 ▲18
에이다 1,137 ▲4
스팀 180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3,690,000 ▲810,000
비트코인캐시 786,500 ▲1,000
이더리움 6,085,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29,000 ▲150
리플 3,896 ▲22
퀀텀 3,693 ▲68
이오타 26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