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8.26(화)

"관세 우려에도 AI가 답"…전기전자 부품업계, 서버랙 출하 급증 기대

스마트폰·PC 출하 둔화 전망에도 패키지 기판 수주 양호세 지속…엔비디아 실적발표 주목

신규섭 금융·연금 CP

2025-08-25 13:35:33

"관세 우려에도 AI가 답"…전기전자 부품업계, 서버랙 출하 급증 기대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하반기 전통적인 IT 기기 수요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AI 서버 수요가 전기전자 부품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관세 부과에 따른 선제적 재고 확보 효과로 4분기 출하 전망치는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AI 관련 수요는 오히려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투자는 25일 전기전자/IT 부품 섹터 리포트에서 "하반기에도 AI 수요가 견인할 것"이라며 "하반기 Set 수요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나 상당부분 주가에 반영되었다"고 분석했다.

2분기 실적발표 마무리 이후 주가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구간에 진입했다. 우려대비 상반기 스마트폰, PC 출하가 양호했는데 하반기 본격적인 관세 부과를 앞두고 Set 업체들이 미국 내 재고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이다.

수요 측면에서도 하반기 수요가 상반기에 일부 선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Foxconn, Quanta 등 조립업체 실적발표 코멘트를 종합해보면 연간 스마트폰 및 PC 수요 전망에는 변동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상반기 선수요 반영 효과로 인해 4분기 출하 전망치는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전통적 Set 수요에 대한 눈높이는 이미 낮아져 있어 주가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는 분석이다.

중국 스마트폰 재고 감소 긍정적…패키지 기판 수주 양호세 지속

6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이 발표됐다.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은 2,056만대로 전년동월대비 14%, 전월대비 9% 감소했다. 스마트폰 신모델이 10대로 전월대비(27대) 대폭 감소한 영향이다.

iPhone이 포함된 Non-local 스마트폰 출하량은 197만대로 전년동월대비 31%, 전월대비 57% 감소했는데 618 쇼핑데이 당시 애플의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앞두고 재고를 미리 확보해 놓은 영향이다. 6월 스마트폰 판매량은 2,508만대를 기록했기 때문에 중국 지역 내 스마트폰 채널 재고가 감소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주요 메모리 반도체 고객사 내 기판 재고는 여전히 양호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1분기까지 메모리 업체들의 강한 부품 재고 조정이 지속되었으나 2월 이후부터 수주 분위기가 개선되었다.

Set 수요가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임에도 낮아진 재고 레벨로 인해 긴급 PO 중심으로 수주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패키지 기판의 원재료인 글라스 섬유, 구리 가격 상승 및 수급 우려로 인해 하반기까지 이러한 수주 흐름이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엔비디아 차세대 신제품 일정 및 서버랙 출하 전망 주목

28일(한국 시간) 엔비디아 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젠슨 황은 지난 주 대만 TSMC를 방문해 Vera Rubin 및 Spectrum-X Photonics 스위치 등 신제품 관련 내용을 논의했는데 금번 실적발표에서 차세대 제품 일정 및 GB 서버 랙 출하 전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엔비디아 서버 주요 조립업체인 Foxconn은 3분기 AI 서버랙 출하량이 전분기대비 3배 이상 증가한다고 언급한 바 있어 하반기 서버 수요는 긍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그 영향으로 관련 국내 벤더들의 주가 흐름도 양호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금융투자 김민경 애널리스트는 "2분기 실적발표 마무리 이후 주가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구간에 진입했지만, 전통적 Set 수요에 대한 눈높이는 이미 낮아져 있어 주가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애널리스트는 또한 "주요 메모리 반도체 고객사 내 기판 재고는 여전히 양호한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Set 수요가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임에도 낮아진 재고 레벨로 인해 긴급 PO 중심으로 수주가 지속되고 있다"며 "하반기 서버 수요는 긍정적일 가능성이 높아 관련 국내 벤더들의 주가 흐름도 양호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특히 엔비디아의 28일 실적발표에서 발표될 차세대 제품 일정과 GB 서버 랙 출하 계획이 하반기 AI 관련 부품 업체들의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에픽 신규섭 금융·연금 CP / wow@globalepic.co.kr]
<저작권자 ©GLOBALEPI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9.86 ▲41.13
코스닥 798.02 ▲15.51
코스피200 433.89 ▲5.39

가상화폐 시세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76,000 ▲267,000
비트코인캐시 787,500 ▼2,500
이더리움 6,469,000 ▼47,000
이더리움클래식 30,570 ▼150
리플 4,138 ▼9
퀀텀 4,191 ▼18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86,000 ▲286,000
이더리움 6,467,000 ▼53,000
이더리움클래식 30,550 ▼150
메탈 1,011 ▼12
리스크 549 ▼2
리플 4,137 ▼6
에이다 1,211 ▼7
스팀 189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7,25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787,000 ▼3,500
이더리움 6,470,000 ▼45,000
이더리움클래식 30,550 ▼100
리플 4,138 ▼6
퀀텀 4,185 ▼180
이오타 276 ▼0